[단독] AX 주도 한다더니…기재부·과기부 AI 역량 간신히 '평균점'

2025-10-24

우리 정부의 인공지능(AI) 전환(AX)을 주도하고 있는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활용 능력이 전체 공공부문 중 평균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기관별 데이터 역량진단 종합 보고서’에 따르면 기재부의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점수는 100점 만점 중에 58.4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앙행정기관 33곳 중 12위에 해당하는 순위다.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등 조직역량 점수는 61.2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정작 데이터를 분석·수집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개인 역량은 54.1점으로 저조했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등 전체 351곳의 평균 점수인 57.1점과 비교하면 불과 1.3점 앞선 수준이다. 과기부도 59점으로 기재부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데이터 역량진단 조사는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실시됐고 행안부가 발주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등 351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했다.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만 6만 4857명이 참여했다.

특히 중앙부처의 성적이 공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보다 저조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부처 평균은 56.3점으로 공기업 평균(63.2점)은 물론이고 광역자치단체 평균인 58.2점보다 낮았다. 국민 생활과 경제정책 최종 결정을 수행하는 중앙부처가 데이터 혁신 경쟁에서도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은 셈이다.

중앙행정기관 중 데이터 활용 능력이 가장 우수한 부처는 국가데이터처(69.8점)로 특허청(68.3점), 국세청(65.3점), 관세청(62.0점)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성평등부(옛 여가부)는 48.4점으로 최근 신설된 재외동포청을 제외하고 꼴찌였고 국가보훈부(50.5점), 병무청(51.8점), 통일부(52.7점)도 하위권에 머물며 데이터 행정 역량이 부족했다.

기관 유형을 떠나 실무자가 공통적으로 약한 영역은 데이터 분석 역량이었다. 데이터 분석 점수는 46점대로 전체 평가 항목 중에 점수가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조직 차원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개인의 역량이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보안 규정이 강해 외부 AI 플랫폼이나 분석 도구 사용이 어렵다”며 “실무자들이 쉽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이터 해석과 활용에 대한 개인 역량이 뒷받침하지 않은 상태에서 AI 전환을 공공부문에 도입하려는 정부의 전략이 보여주기 정책으로 흐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태호 의원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데이터 활용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