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중소기업 오너들이 자녀에 가업을 승계하지 않고 회사를 외부에 매각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국내 패밀리오피스 산업이 함께 팽창하고 있다. 당장 사업을 이어갈 생각이 크지 않은 2~3세에 회사를 물려주는 것보다, 투자회사를 세워 안정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는 것이다. 높은 상속세율로 인해 세금 부담이 큰 상황에서 패밀리오피스를 활용하면 증여세와 소득세 등에서 절세 효과도 거둘 수 있어 이런 추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 일가는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네오브레인·네오솔루션즈·네오영 등 최소 3개 투자 법인을 신설하고 이 법인들에 개인 보유 재산들을 대거 이전헸다.
최 회장은 지난해 1월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 지분을 MBK파트너스·UCK파트너스에 2740억 원을 받고 매각하며 일시에 거금을 확보했다. 그는 이렇게 마련한 현금 등을 활용해 상장사 서진시스템·APS·주성엔지니어링 등 지분을 각각 7~10% 사들였는데, 최근엔 이 지분을 패밀리오피스 법인으로 속속 넘긴 것이다. 최 회장은 패밀리오피스를 이끌 대표(CEO)로 투자 전문가인 정두영 전 과학기술인공제회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영입하고 자금 관리 전반를 맡겼다.
지난해 일진머티리얼즈(현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를 롯데그룹에 2조7000억 원을 받고 매각한 일진그룹 2세 허재명 회장도 투자 회사 컴퍼니에이치를 설립하고 투자 보폭을 넓히고 있다. 컴퍼니에이치는 올 해 7월 NH투자증권과 업무제휴 협약을 맺고 IB 시장에서 상품화 된 인수금융·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에 공동 투자하는 방안까지 적극 검토하고 있다.
2021년 말 한샘(009240) 경영권을 약 1조4500억 원에 IMM프라이빗에쿼티(PE)에 매각한 조창걸 전 회장 역시 패밀리오피스를 만든 대표 인물 가운데 하나다. 그는 매각이 결정된 직후 태재홀딩스를 설립해 학술사업에 전념하면서도 이 회사를 통해 여러 투자에 나서 왔다. 태재홀딩스 측은 지난해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등에만 1000억 원가량의 자금을 맡기는 등 국내외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 올 7월 컴포즈커피를 4600억 원에 필리핀 졸리비푸드에 매각한 양재석 대표, 2017년 카버코리아를 유니레버에 매각하고 약 1조 원을 거머쥔 이상록 회장 등이 패밀리오피스를 설립해 각종 투자 활동에 나서는 인물로 알려졌다.
과거 거금을 쥔 자산가들은 꼬마빌딩이나 고급 아파트 등 부동산을 주로 사들이는 단순 투자 방식에 머물렀다. 하지만 구조화 금융기법이 다양하게 등장하는 시대를 맞아 패밀리오피스를 통해 제대로 투자하겠다는 인식이 강해졌다. 일례로 올 상반기 IMM자산운용이 총 3000억 원 규모로 만든 셀트리온(068270) 지분 투자 펀드에는 삼성증권과 거래하는 패밀리오피스·고액자산가들로부터 1000억 원 넘는 자금이 쏟아져 들어와 펀드 판매가 순식간에 마감됐다.
법인을 설립해 자금을 운용하면 소득세·증여세 등을 아끼는 등 절세 효과가 크다는 점도 패밀리오피스 설립 시 고려되는 점이다. 주식·채권·부동산 등 각종 소득을 더해 납부하는 개인종합소득세는 연소득 10억 원 이상일 경우 최대 45% 세율이 매겨진다. 하지만 법인세는 소득 3000억 원 미만까지 19~21% 세율만 적용 받는다. 기업 승계 과정에서 최대 50%인 증여·상속세를 일단 피하고 패밀리오피스 설립을 통해 자연스러운 부의 이전을 노리는 자산가들도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중은행 소속 한 세무사는 “법인을 설립하면 각종 비용들을 매출에서 공제할 수 있어 개인 소득세를 낼 때 보다 절세할 방법이 상당히 많다”면서 “투자 법인 설립시 자녀들을 대주주로 참여시키면 궁극적으로 증여나 상속까지 해결할 수 있어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중견·중소기업 오너들 사이에서 경영권을 외부에 매각한 뒤 패밀리오피스를 설립하는 사례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란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