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점 측, "KGM 임대료 지원 폐기 등 대리점 죽이기 시작했다" 주장

2025-04-07

KG모빌리티가 인센티브 축소와 임대료 지원 폐지 등 정책 변화로 대리점 운영에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등 수입차 브랜드들은 판매 목표 달성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대리점 임대료를 지원하는 등 상생 방안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KG모빌리티는 인센티브를 대폭 축소하고 임대료 지원마저 중단하면서 대리점주들이 사실상 적자 운영을 하게 하는 상황에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다.

KG모빌리티 대리점은 본사와 운영비를 7:3 비율(본사 70%, 대리점 30%)로 분담하며, 수익은 주로 차량 판매 시 제공되는 인센티브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KG그룹 인수 이후 인센티브가 대폭 축소되며 현재는 거의 지급되지 않는 수준에 이르렀고, 이로 인해 차량 한 대를 판매하더라도 대리점의 수익은 사실상 0에 가까워 졌다는 것이 대리점들의 입장이다. 설상가상으로 본사가 임대료 지원마저 완전히 폐지하면서 대리점들은 매달 적자를 감당해야 하는 실정에 놓였고,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KGM 영업대리점 대표는 "본사는 대리점을 배척을 그만하고 불합리한 인센티브 정책을 없애 상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인센티브가 줄어드니 성실히 일하던 직원들도 떠나고, 대리점 운영에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고 울분을 토했다.

또 다른 대리점 관계자는 "차량 한 대를 팔아도 수익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임대료 부담까지 떠안게 되니 살아남을 방법이 없다"며 "KG모빌리티의 이러한 행보가 계속된다면 대리점 네트워크 붕괴는 물론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수 있다"고 말했다.

본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과 전체 안정성을 위한 불가피한 조정이었다면서도 지속적으로 대리점과 소통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KG모빌리티 측 관계자는 “본사는 대리점과의 상생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현재의 정책 변화는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전체 판매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위한 불가피한 조정이었다”고 말했다.

이어서 "대리점 운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대리점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 배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또 "대리점 협의회가 온건파와 강경파로 나뉜 상황이고 강경파 협회는 약 50개 단체가 가입돼 있으며, 이는 그들의 주장이다"라며 "반면 주를 이루는 온건파 협의회와는 원활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희상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