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촉매에 할당관세 적용…"전략광물 수입 의존도 낮춘다"

2025-02-24

정부가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들여오는 폐촉매 관세를 한시적으로 낮추거나 없애는 방안을 추진한다. 폐촉매를 재활용하면 6대 핵심 광물 중 하나인 백금족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할당관세를 통해 수입 폐촉매에서 추출된 백금족 전량이 국내에 공급될 경우 백금족 수입 의존도를 20%포인트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폐기물의 일종인 폐촉매 수입관세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0%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할당관세는 특정 수입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율을 인하해주는 제도다. 폐촉매 주 수입국인 베트남·중국산의 경우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영세율이 적용되지만 폐기물은 관세 면제를 위한 원산지 증명이 어려워 실상은 대부분 기본세율(3%)을 내고 들여오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문제는 관세를 납부하고 폐촉매를 들여올 경우 폐촉매에서 추출한 백금족을 국내에 공급할 유인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원재료를 수입해 가공 후 수출할 경우 관세환급특례법에 따라 관세를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주요 폐촉매 정제 회사 A 업체는 지난해 백금족 10.9톤을 생산했지만 관세를 환급받기 위해 이 중 7.2톤을 수출했다.

정부는 이 생산량의 전부를 수출하지 않고 국내에 공급할 경우 백금족 수입 의존도가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연간 국내 자동차 제조용 백금족 수요는 약 32톤이며 이 가운데 수입 비중은 88.3%에 달하는데 A 업체가 수출하는 백금족 약 7톤이 국내로 공급되면 수입 의존도가 65.5%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보석류의 경우 마진이 크지 않아 폐기물 정제 업계로서는 폐촉매 관세를 부담하면서 백금족을 국내에 공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 차원에서 할당관세 적용 방안을 연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