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달 말 ‘치킨 슈링크플레이션’ 대책 발표
치킨 ‘마리’ 대신 ‘그램(g) 수’ 표기 논의

정부가 치킨업계에서 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을 방지할 대책을 이달 말 내놓는다. 앞으론 메뉴판에 ‘치킨 1마리’ 가격이 아니라 고깃집처럼 용량을 표기하는 방안 등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3일 오후 관계부처 합동으로 외식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슈링크플레이션 근절 및 외식물가 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BBQ·BHC·교촌치킨 등 치킨브랜드와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 등 카페 프랜차이즈 및 주요 외식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공정거래위원회·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논란이 된 ‘치킨 슈링크플레이션’ 관련 대책을 이달 말까지 내놓기로 했다. 대책에는 치킨의 용량 단위 등을 표기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치킨업계는 그간 일반 고깃집과 달리 판매 상품에 ‘g(그램)‘ 표기 대신 ‘마리’ 표기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같은 한 마리라도 닭 호수에 따라 용량이 천차만별이라 소비자들이 정확한 용량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예를 들어 일부 치킨 프랜차이즈가 사용하는 13호 닭은 중량이 1350g인 반면, 대형마트 등에서 주로 쓰는 9호닭 중량은 950g 수준으로 같은 한 마리라도 중량이 30% 넘게 차이 난다.
앞서 교촌치킨은 지난 9월 순살치킨 한 마리 용량을 기존보다 200g 줄이고, 선호도가 높은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섞기로 했다가 정치권에서 비판이 쏟아지자 원상 복구시킨 바 있다.
이후 온라인상에서는 ‘업체마다 닭 호수가 다르다 보니 모르는 브랜드 치킨은 시키기가 꺼려진다’ ‘교촌치킨도 그램수(g) 표기를 제대로 했다면 (소비자가) 알아서 걸렀을 것’ 등의 성토가 쏟아졌다.
정부는 치킨을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상 영양성분·원재료 표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소비자가 모르게 기존 원재료를 질이 낮고 저렴한 재료로 대체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 관계자는 “일반음식점처럼 치킨도 중량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영세업체의 부담이 과도하게 늘지 않도록 구체적 방안은 업계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업계는 이날 간담회에서 외식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식자재 할당관세 적용 및 공공배달앱 지원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단독]아파트 공시가율 내년도 안 올린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GS8XG_2.jpg)


![韓 물가 2% 웃돌았나…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관세 운명은 [한동훈의 위클리전망대]](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PV53QO_1.jpg)


![[비즈 칼럼] 수백억 설비 투입되는데…간장·고추장 ‘단순 가공식품’ 취급은 억울](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3/17d5c557-5e95-4c40-b2b3-8f5eb0df3a3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