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남성 2명 중 1명은 비만…30%는 당뇨·고혈압 전 단계

2025-02-02

국내 20·30대 남성 두 명 중 한 명은 비만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2030 한국 성인의 비만 관련 동반 질환의 유병률과 비만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원광대산본병원 김승희 교수) 결과를 보면, 19~39세 남성 중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인 비만은 45.4%, 당뇨 전 단계는 29.2%, 고혈압 전 단계는 31.1%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비만은 20.5%, 당뇨와 고혈압 전 단계는 각각 17.7%, 12.5%였다.

해당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년) 자료를 토대로 19∼39세 성인 3609명(남성 1646명·여성 1963명)의 비만율과 동반하는 대사질환의 유병률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성인 남녀 모두 낮은 수준의 교육과 고위험 스트레스가 비만에 영향을 끼쳤다.

젊은 성인들은 사회에서 요구되는 여러 역할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데, 스트레스는 지방의 축적과 식욕을 증가시킨다. 이때 고칼로리 음식 섭취가 증가하고, 동시에 수면의 질을 낮춰 비만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기혼 상태와 낮은 소득 수준, 과거 흡연력, 음주가 비만에 영향을 줬다. 여성은 노동 상태가 비만과 관련성이 높았다.

남성은 연령에 따른 비만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은 19~29세에 비해 30~39세에서 비만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국내 2030 성인의 비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질환 발생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만성대사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젊은 성인의 비만과 관련된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비만 예방과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