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안세영이 여자단식 선수로는 사상 최초로 한 시즌 국제대회 10개의 우승컵을 수확했다. 다음 달 월드투어 파이널스까지 제패할 경우 2019년 모모타 겐토(일본)가 세운 단일 시즌 남녀 최다 11승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현재 세계 배드민턴 '절대 1강'로 군림하고 있다.

그러면 202년생에 불과한 안세영은 과연 여자 단식 배드민턴의 'GOAT(Greatest of All Time)로 불릴 만한 지 여러 AI에게 물어봤다. 대답은 GOAT의 강력한 후보이지만 아직은 아니라는 게 결론이다.
▲ 강력한 GOAT 1순위 후보인 이유
세계 랭킹 1위 안세영이 비록 나이는 아직 어리지만 경기력과 성적은 GOAT로서 손색이 없다. 시즌 10승은 현 세계배드민턴연맹(BWF) 투어의 촘촘한 일정과 난도를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하지만 '셔틀콕 여제'는 메이저·슈퍼시리즈를 가리지 않고 우승컵을 수집했다. 상대와의 맞대결 지표 역시 압도적이다. 라이벌인 야마구치 아카네와(3위)의 상대 전적 반등, 첸위페이(5위)와의 빅매치 우위 등 핵심 구도에서 확실한 변화를 만들어냈다.

기량의 확장성도 GOAT인 이유의 신뢰도를 높인다. 수비형 이미지에서 벗어나 공세 전환의 속도, 긴 랠리에서의 절대 우위, 결정 구간에서의 공격 완성도가 모두 넘버원이다. 과거 레전드들이 전성기 초입에서 보였던 '기량의 폭발'과 닮았다. 무엇보다 올해는 세대 전환의 분기점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안세영이 경기 스타일 자체를 기준으로 만들고 있어 상위 랭커들의 준비 방식도 변하고 있다. 종목의 전술적 기준을 바꾸는 선수는 GOAT 논쟁의 중심에 서는 경우가 많다.
▲ 그래도 아직 GOAT가 아닌 이유
GOAT는 시즌의 성과뿐 아니라 정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길이로 중요한 덕목이다. 우선 안세영은 누적 커리어의 아직 적다. 세계선수권 다회 우승, 올림픽 금메달 등 배드민턴 최고 레벨의 커리어는 아직 더 쌓아야 한다. 대만의 레전드 타이쯔잉(은퇴) 등이 남긴 커리어 볼륨에 비하면 절반에 그친다.
아직 지배력의 지속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1~2년의 전성기는 강력한 선수가 종종 만들어낸다. GOAT는 5년 이상 종목을 지배한 선수에게 붙는다. 안세영의 현재 흐름이 어느 기간까지 이어질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더 오랜 시간, 더 다양한 무대에서 성적을 쌓아야 한다.

psoq1337@newspim.com

![[AI 스포츠 브리핑] 프로야구 구단별 'KBO MVP' 수상자는?](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1708444740.jpg)
![[수비수의 시선] 미드-레인지와 골밑 사이, 외곽 수비와 골밑 수비, 박지수의 딜레마 대처법은?](https://basketkorea.com/news/data/20251122/p1065604590570394_212_thu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