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포츠 브리핑] 프로야구 구단별 'KBO MVP' 수상자는?

2025-11-24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한화의 코디 폰세가 24일 서울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2025 KBO 시상식'에서 삼성의 르윈 디아즈를 제치고 압도적인 표 차이로 최우수선수(MVP) 영예에 올랐다. 폰세는 장종훈(1991·1992), 구대성(1996), 류현진(2006)에 이어 한화 출신으로는 다섯 번째이자 19년 만에 MVP 수상자가 됐다.

◆ 한화 이글스(코디 폰세·2025년)

폰세는 2025시즌 29경기 180.2이닝 동안 17승 1패 평균자책점 1.89, 그리고 무려 252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승률(0.944)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KBO 사상 외국인 투수 최초의 '투수 부문 4관왕'이라는 역사를 새로 썼다.

◆ KIA 타이거즈(김도영·2024년)

KIA의 3루수인 김도영은 143득점으로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을 갈아치웠다. 여기에 20세 10개월의 나이에 111경기 만에 30홈런 30도루를 달성해 역대 8번째이자 최연소, 최소 경기 30-30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 0.347 38홈런 OPS(출루율+장타율) 1.067로 리그 최정상급 공격력을 보여줬다.

NC 다이노스(에릭 페디·2023년)

총 30경기에 선발 등판한 페디는 20승 6패, 평균자책점 2.00을 기록했다. 다승과 평균자책점, 탈삼진(209개) 부문을 석권하며 투수 트리플크라운(3관왕)을 달성했다. 또 한 시즌 20승과 200탈삼진을 동시에 달성, 1986년 선동열 이후 37년 만이자 외국인 투수로는 KBO리그 역사상 최초의 대기록을 세웠다.

키움 히어로즈(이정후·2022년)

이정후는 142경기를 뛰며 타율 0.349, 193안타 23홈런 113타점을 남겼다. 타율·안타·타점·출루율(0.421)·장타율(0.575) 부문을 모두 석권했고, 타격 5관왕을 차지했다. 이정후가 MVP를 수상하면서 KBO리그 역사상 최초로 부자(父子) MVP가 탄생했다. 이정후의 아버지인 이종범은 프로 데뷔 2년 차이던 1994년 타율(0.393), 안타(196개), 득점(113점), 도루(84개), 출루율(0.452)에서 1위를 차지해 사실상 5관왕을 차지했고, 그해 MVP까지 품에 안았다.

◆ 두산 베어스(아리엘 미란다·2021년)

미란다는 28경기에 등판해 14승 5패 평균자책점 2.33 탈삼진 255개를 잡아내며 평균자책점·탈삼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미란다는 당시 1984년 고 최동원이 기록한 단일 시즌 최다 탈삼진(223개) 기록을 37년 만에 넘어서며 최동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kt 위즈(멜 로하스 주니어·2020년)

로하스는 홈런(47개), 타점(135개), 득점(116개), 장타율(0.680) 등 4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타격 4관왕에 올랐다. 뿐만 아니라 최다 안타 2위(192개), 타율 3위(0.349) 등 전 부문에 걸쳐 압도적 성적을 냈다. kt의 정규시즌 2위, 창단 첫 포스트시즌 진출을 이끈 활약이었다.

롯데 자이언츠(이대호·2010년)

이대호는 127경기에 출장해 타율 0.364 44홈런 133타점을 기록, 득점-출루율-장타율-최다 안타 등과 함께 프로 첫 7관왕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특히 8월에는 9경기 연속 홈런이라는 대기록을 작성한 데 이어 2003년 이승엽(56홈런) 이후 7년 만에 40홈런 고지를 밟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강타자로 거듭났다.

◆ SSG 랜더스(김광현·2008년)

김광현은 27경기에 출전해 162이닝 16승 4패 평균자책점 2.39 탈삼진 150개 WHIP(이닝당 출루허용률) 1.17로 다승-탈삼진의 2관왕을 달성했으며 평균자책점과 WHIP 부문에서도 2위를 달성했다. 특히 올림픽 이후에는 7경기 7승에 48.2이닝 동안 단 6자책점을 기록하는 괴같은 활약을 보였다. 한국시리즈에서도 호투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2연패까지 함께했다.

◆ 삼성 라이온즈(배영수·2004년)

배영수는 공동 다승왕(17승)과 승률왕(0.895) 등 2관왕에 평균자책점 3위(2.61), 탈삼진 4위(144개) 등 투수 전부문에서 돋보이는 활약을 펼쳤다. 또한 현대와의 한국시리즈 4차전서는 10이닝 노히트 노런의 투혼을 보여줬다. 당시 투수 MVP는 96년 구대성(한화) 이후 8년 만이었다.

LG 트윈스(없음)

wcn050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