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통기획'과 '조합원 단합'…1년 8개월 만에 사업시행인가
'비례율 반토막' 경험이 조합장으로…"시간 줄이는 게 핵심"
'아자부다이 힐스' 감명…헤더윅에 '연애편지' 보내
"입찰 공사비, 솔직하게 공개…처음에 매 맞는 게 낫다"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조합원분들과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업 전반적인 내용을 '솔직하게' 공유한 게 사업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지난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정곡빌딩에서 만난 정희선(50) 여의도 대교아파트 조합장은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수 있었던 전략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 조합장은 "가령 추정 분담금 같은 것들은 집행부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주제다. 조금 오를 때마다 동의율이 안 나올까 봐 걱정"이라면서도 "항상 그걸 최대한 보수적으로, 솔직하게 알렸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나중에는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더 빠른 길이 됐다"고 강조했다.

인터뷰가 진행된 이날 정곡빌딩 8층은 여의도 대교아파트 재건축 홍보관을 준비하는 손길로 분주했다. 정 조합장은 감회가 새롭다는 듯이 홍보관을 둘러봤다.
여의도 16개 재건축 단지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여의도 1호' 타이틀을 거머쥔 대교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마지막 관문 앞에 섰다. 1975년 준공된 576가구의 대교아파트는 최고 49층, 912가구 규모의 하이엔드 주거 단지로의 변신을 예고하고 있다.
조합 설립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까지 단 1년 8개월. 전례 없는 속도전의 중심에는 정희선 조합장이 있다. 오는 15일, 삼성물산을 시공사로 맞이하기 위한 조합원 총회를 앞두고 정 조합장은 "모든 비결은 조합원들의 단합력과 지지"라고 단언했다.
다음은 정희선 조합장과의 일문일답.
◆ '신통기획'과 '조합원 단합'…1년8개월 만에 사업 인가
Q: 여의도에서 가장 빠른 속도다. 조합 설립부터 사업시행인가까지 1년 8개월 만에 완수했는데, 비결이 무엇인가?
A: 두 가지가 핵심이다. 첫째는 '신속통합기획' 제도다. 우리가 사업을 시작할 때 마침 이 제도가 신설돼 재건축 절차를 크게 단축하는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576명 조합원들의 단합력과 지지다. 이 사업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조합원들의 강력한 지지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속도다.
Q: 사업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데이케어 센터' 유치 문제로 큰 난항을 겪었다. 당시 반대가 극심했는데, 어떻게 돌파했나?
A: 사실 1년간 반대가 극심했다. 데이케어 센터가 꼭 필요한 시설임에도 데이케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 때문에 반대가 심했다. 고민 끝에 설명회를 열기로 했다. 솔직히 너무 불안해서 설명회 전날엔 꿈도 꿨다. 설명회가 끝났는데 아무도 없고 저만 덩그러니 남아있는 꿈이었다.
하지만 설명회에서 모든 것을 솔직하게 말씀드렸다. 데이케어 센터를 받는 대신 우리가 용적률 인센티브 등 어떤 반대급부를 얻었는지, 그리고 우리가 더 큰 면적으로 유치한 체육 시설 등 전체적인 장점을 투명하게 공유했다. "이 시설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우리 사업 진행이 쉽지 않다"고 현실을 그대로 말씀드렸다.
그날 300분 정도 오셨는데, 놀랍게도 단 한 분도 반대하지 않으셨다. 질문조차 없었다. 오히려 찬성의 의미로 박수를 쳐주셨다. 조합원들께서 사업의 전체 그림을 이해하고 협조해주신 덕분에 가장 큰 고비를 넘을 수 있었다.
◆ '비례율 반토막' 경험이 조합장으로…"시간 줄이는 게 핵심"

Q: 정비 업계에서 '젊은 여성 조합장'으로서 도전적인 행보가 주목받는다. 정비 사업에 뛰어들게 된 계기는?
A: 40대 초반에 정비 사업인지 모르고 용산에 집을 샀는데, 알고 보니 재개발 사업이었다. 3년 뒤면 입주할 수 있고 동호수도 다 나와 있어서 샀던 집. 그런데 사업이 시공사가 타절되는 등 여러 이슈가 생기더니, 관리처분 변경 통지서가 나왔다. 비례율이 132%에서 59.84%까지 떨어졌다고 하더라. 사업성은 반 토막이 났고, 이주비 대출은 그대로이니 실질적으로는 3분의 1 토막이 난 거다.
그때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게 뭐지"라는 생각을 했고, 마침 서울시에서 정비 교육을 막 시작할 때라 한 달 내내 교육을 받으러 갔다. 그게 한 10년, 11년 전 일이다. 그때 공부가 정말 많이 됐다. 그 사업장은 매몰비가 2000억원이 있었다. 재개발이니 커버가 됐지만, 우리 같은 중층 재건축은 일반 분양 물량이 적어 매몰비가 생기면 회복하기가 정말 어려운 구조다.
사업비의 80%가 시공비인데, 조합장이나 집행부가 그걸 잘해서 줄이긴 어렵다. 그렇다면 조합이 줄일 수 있는 부분은 '시간', 즉 시간에 대한 금융 이자라고 생각했다. 재건축 사업을 시작하면 준공하고 입주해서 개별적으로 나눠 가져야 하는데, 그 시간을 줄이는 것, 그리고 종후 가치가 극대화하는 입주 이후의 시점을 빨리 당기는 게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때는 정말 몸으로 배웠던 시기였고, 그 사업장에서 이사로 10년 정도 재직했다. 그 사업의 한 흐름을 보고 나서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줄여보려고 노력한 게 지금 많이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다.
◆ '아자부다이 힐스' 감명…헤더윅에 '연애편지' 보내
Q: 특히 세계적인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을 직접 섭외한 과정이 화제였다. '젊은 정비 사업'은 어떤 것인지?
A: 상대적으로 젊기 때문에 안 갔던 길을 가려 하고, 도전적인 시도를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정점이 헤더윅 스튜디오와의 협업이다.
일본 도쿄의 '아자부다이 힐스'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 좁은 구역에 고밀도 개발을 하면서도 저층부에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감성과 다양성을 담아낸 것을 보고 편지를 썼다. 내용은, "도심 속에 높이, 많이 지어야 하는 사업성 속에서 사람이 삭막하지 않을까", "지금 짓는 아파트들도 훌륭하지만 50년 전과 별 변화가 없는 것 같다", "새로 짓게 되면 100년은 남을 텐데, 다른 형태의 새로운 주거 모델이 나오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 다들 '연애편지' 같다고 하더라.
(스튜디오의 수장인) 토마스 헤더윅에게서 "당신의 열정에 감동했다. 우리도 그 마음에 맞춰 노력해보겠다"는 친필 사인이 담긴 답장을 받았다.
Q: 해외 설계사와의 협업이 쉽지 않았을 텐데.
A: 영국에는 '정비사업 조합'이라는 개념이 없는 것 같았다. 우리의 사업 구조와 조합의 정체성을 설명하고 "이 사업은 실현 가능하다"고 설득하는 데만 1년 4개월이 걸렸다. 마음속으로는 수천 번 포기했었다. 다행히 입찰에 2개 회사가 참여해 주셔서 총회를 통해 (헤더윅 스튜디오를) 선정할 수 있었다.
최근 삼성물산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후, 헤더윅 스튜디오의 실무 총괄 스튜어드 우드가 내한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들과 함께 최근 준공된 단지(래미안 원펜타스)를 방문해 한국의 최신 주거 트렌드를 공유하고, 대교아파트 현장에도 올라가 한강과 산의 조망을 함께 보며 영감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헤더윅 측에서 우리 단지를 보고 '굉장히 평온하다'고 하더라. 단지 내에 50년 된 나무들과 아파트가 어우러진 모습에서 평온함을 느낀다고 했다. 그리고 한강 뷰를 보여주려고 올라갔는데, "(스튜어드 우드가) 저기 산이 보인다, 멋지다"라고 말하더라. (웃음)
◆ "입찰 공사비, 솔직하게 공개…처음에 매 맞는 게 낫다"

Q: 오는 15일 삼성물산 시공사 선정 총회를 앞두고 있다. 제안서는 어떻게 평가하나?
A: 제안서는 이사회와 대의원회에서 모두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조합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가 '이주비', '추가 분담금', '세금'이다. 특히 이주비와 추가 분담금에 대한 부담이 엄청 큰데, 그 부분에 있어서 이번 제안서에 부담이 많이 완화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또한 조합이 제시한 80페이지 분량의 '공동주택 성능 요구서'의 기준을 잘 맞춰줬다고 생각한다.
Q: 여의도 '선두 주자'로서 다른 단지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사항이 있다면.
A: '솔직함'과 '신속한 공유'다. 추정 분담금이나 공사비처럼 민감한 사안일수록 집행부는 부담스럽다. 하지만 저희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현실을 솔직하게 알려드렸다. 이번 입찰 공사비도 적산 내역에 나온 수치를 누르지 않고 그대로 공개했다. 현실이 그런데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지 않나.
처음에 매를 맞을 것이냐 아니면 나중에 맞을 것이냐 차이인데 최대한 처음에 현실적으로 말씀드렸던 게 지금은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
Q: 마지막으로 조합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정말 우여곡절이 많았다. 그럴 때마다 조합과 집행부를 믿고 단합과 지지를 보내주신 조합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저는 항상 이렇게 말씀드린다. "대한민국에 여의도 대교아파트 같은 조합원들은 없습니다. 정말 조합원분들이 최고이십니다"라고 말이다. 지금의 성과는 저 혼자 한 것이 아니라, 이사님, 감사님, 대의원님, 그리고 모든 조합원님의 합의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dosong@newspim.com

![상가 조합원 분양 완화 2심 승소…“전원 동의 불필요” 판결 [AI 프리즘*부동산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UQDVNP_1.jpg)
![[속보]강훈식 “배당소득 분리과세, 당·정·대가 화답해야 ···자본시장 활성화 국민 기대에 부응”](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09/news-p.v1.20251109.40db049688814d2184f6eb53185c460d_P1.webp)
![[단독]한화 품에 안긴 아워홈, 비핵심 부동산 매각 착수](https://nimage.newsway.co.kr/photo/2025/11/10/20251110000069_0480.png)



![[1년전 오늘] 여야의정 협의체, 野없이 일단 출범](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201227_914810_34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