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과 30년 전만 해도 자라나는 아이들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어른들에게 물어보았습니다. 밥을 짓는 방법, 옷을 입는 방법, 길을 찾는 방법 등등 세상의 모든 지식들은 어른을 통해 아이들에게 전해졌습니다.
그러다가 인터넷이 등장하자 이제는 ‘구글’에 물어보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유튜브’가 등장하고, ‘Chat-GPT’가 등장하면서 어른들은 이제 질문을 받는 일이 줄어들었습니다. 아니, 거의 질문을 받지 못합니다. 이제 ‘AI’를 잘 다루는 아이들이 어른보다 더 많이 아는 시대가 됐습니다.
그러니 거꾸로 어른이 아이에게 물어야지요. “Chat-GPT 어떻게 쓰는 거니?” 이렇게 말이죠. 이런 현실 속에서 어른으로 산다는 것은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요.
항상 사람은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글을 쓰는 저는 20년간 저널리스트 생활을 해 왔던, 나름, 어른이기 때문에, 어른과 아이의 관계를 이야기할 때 어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려 했음을 고백합니다. 하지만 답은 상대를 중심으로 할 때 발견되는 경우가 99%입니다. 그러니 어른을 이야기하기 전에 아이들의 상황을 먼저 돌아봅니다.
제가 사는 실리콘밸리에는 훌륭한 대학교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UC버클리, 산호세주립대 등의 컴퓨터공학과를 다니는 친구들이 취업 또는 인턴을 예전처럼 손쉽게 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대형 IT 회사들이 더 이상 코딩을 잘하는 친구들을 고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죠. 전해 듣기로는 대형언어모델(LLM)이 가장 많이 학습한 언어가 영어이고, 그 다음으로 많이 학습한 언어는 파이썬(Python)이라는 컴퓨터언어라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빠르게 컴퓨터언어를 잘하는 친구들을 대체해 나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아이들은 이제 인공지능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겁니다. 과거에는 같은 나이 또래의 집단 내에서 경쟁에서 이기면 인정을 받을 수 있었던 아이들이, 이제는 인공지능이 갖지 못한 무언가를 할 수 있어야만 인정받을 수 있는 현실이 됐다는 겁니다. 우리 아이들이 처한 상황, 과거보다 훨씬 열악하지 않습니까.
이런 상황에서 어른들이 “나 때는 말이야”라고 이야기를 시작하는 건 상대방이 처한 입장을 몰라도 한참 모르는 이야기이지 않겠습니까. 늘 “나 때는” 지금보다 경쟁이 덜한 환경이었습니다. 도시화 세계화 인터넷화 모바일화 인공지능화 등이 진행되면서 개인의 경쟁상대는 늘어나기만 했습니다. 그렇게 더 심해지는 경쟁 속에 있는 아이들에게 어른들은 “나 때는” 이라는 말을 통해 존경까지 갈구 또는 강요합니다.
어른이 줄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봅니다. 어른이 더 가진 것이 있다면, 아이들이 살지 못했던 시간일 겁니다. 그 시간 속에 녹아있는 것은 아이들이 맛볼 수 없었던 감정들,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축적된 물질 등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물질을 나눠주는 것은 가장 쉬운 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제가 겪은 뛰어난 어른들과의 경험을 돌아보면 돈은 가장 값싼 나눔의 수단이었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저희 회사는 모두 14명 가량의 투자자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개인투자자들입니다. 성향들은 모두 천차만별입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유독 특별한 어떤 한 투자자 분의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자수성가한 사업가인 이분은 아침마다 제게 전화를 합니다. 마치 부모가 아들에게 전화를 하는 것처럼 매일 전화해서 어디를 가는지, 누구를 만나는지, 저녁은 먹었는지, 내일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를 물어봅니다. 회사의 세일즈 전략을 공유해 달라면서 본인의 네트워크 속에서 사업적으로 연결될 사람이 있으면 바로 달려가서 저랑 상대방을 이어줍니다. “투자해 준 것만 해도 고마운데…이렇게 까지 해 주실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그냥 아낌없이 자신의 시간을 투자해 본인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도와줍니다. 이런 분을 만난 게 참 운이 좋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상에는 분명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AI로도 얻을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걸 어른들도 줄 수 있습니다. 여기엔 많은 게 있겠지만 오늘 제가 하나 강조하고 싶은 건 바로 ‘함께 한다’는 느낌입니다. 거친 경쟁의 파도 속에서도 혼자 내팽개쳐져 있지 않다는 느낌. 아무리 힘들어도 같이 웃어줄 수 있는 어른. 일본의 만화가 ‘야마다 세이지’가 쓴 책 〈어른의 의무〉에는 이런 말이 등장합니다.
“무엇보다 젊은 사람들이 실은 이렇게 생각한다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발 존경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신처럼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해 달라고 말입니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웃음과 긍정을 잃지 않는 미소 띤 어른의 모습. 어쩌면 우리 아이들은 그런 어른을 닮아서 웃고 싶은 것은 아닐까 모르겠습니다.
신현규 / 글리터컴퍼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