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英도 캄보디아 대규모 합동 제재…"北 해킹 돈세탁까지 연계"

2025-10-15

미국과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 등을 근거지 삼아 온라인 사기 단지를 운영해온 조직에 대해 제재를 가했다. 한국인들을 캄보디아로 유인해 범죄에 동원하고 고문과 살해를 한 범죄 실태가 드러난 가운데 미국과 영국이 이해당 조직을 이전부터 주시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미국과 영국은 14일(현지시간) 캄보디아에 기반을 둔 ‘프린스 그룹(Prince Group)’과 그룹 회장인 천즈를 제재 대상에 올렸다.

미 재무부는 이날 공개한 보도자료를 통해 “영국과 긴밀히 협력해 온라인 사기와 자금 세탁 등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 시민을 표적으로 삼는 범죄 조직 프린스 그룹과 관련된 146개 조직에 대한 광범위한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 또 범죄 수익금에 대한 자금 세탁을 해온 ‘후이원 그룹(Huione Group)’에 대해선 금융거래 금지 조치를 내렸다.

재무부는 이들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해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한편, 법무부는 천즈 회장이 보유해온 약 150억달러(약 21조원)의 비트코인 12만7271개를 몰수하기 위한 소송을 법원에 제기했다. 해당 비트코인은 현재 미국 정부가 압류한 상태로, 해당 금액은 미 법무부가 압류한 비트코인 중 역대 최대규모다.

법무부는 또 도주 중인 천즈 회장을 온라인 금융사기와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했다. 유죄가 확정될 경우 최대 40년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이들에 의한 미국인들의 피해금액만 10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추정했다.

금융차단 조치 대상이 된 후이원 그룹의 경우 사기와 해킹 등으로 탈취한 가상화폐 자금은 수년간 세탁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재무부는 후이원 그룹이 2011년 8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최소 40억달러(5조7000억원)의 불법 자금을 세탁했는데 이중 3700만달러는 북한이 해킹한 가상화폐라고 설명했다.

영국 정부는 프린스 그룹과 함께 해당 조직과 연계된 ‘진베이 그룹’를 비롯해 암호화폐 플랫폼 ‘바이엑스 거래소’까지 제재 대상에 올렸다. 또 프린스 그룹의 자회사가 건설한 ‘골든 포천 리조트 월드’를 프놈펜 외곽의 대규모 스캠(사기) 단지의 배후로 지목했다.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1987년 중국에서 태어난 그룹의 회장 천즈는 빠르게 부를 축적해 캄보디아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키프로스와 바누아투 시민권을 돈을 주고 사들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은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사업체를 두고 런던 부동산 시장에 투자해 왔다. 여기엔 런던의 1200만 파운드(약 230억원)짜리 저택과 1억 파운드(1천900억원)짜리 건물, 아파트 17채가 포함된다. 이날 제재 조치로 이들 부동산은 즉각 동결됐다.

미국 정치권에선 캄보디아를 국제 범죄 혐의로 블랙리스트에 등재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발의됐다.

공화당 소속의 제퍼슨 슈리브(인디애나), 존 물레나(미시간), 마이클 루울리(오하이오) 등 하원의원 3명은 이날 발의한 결의안에서 캄보디아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캄보디아 정부 관리와 기업까지 제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엔 캅보디아 실권자인 훈센 상원의장(전 총리)를 비롯해 그의 측근과 친척 등 43명을 포함시켰다.

앞서 미 국무부는 지난달 29일 공개한 ‘2025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캄보디아의 인신매매 위험도를 최고 수위인 3등급으로 분류하며 “캄보디아 정부는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중요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특히 온라인 사기 업장의 인신매매 배경에 ‘정부의 관행적 패턴’이 있다고 짚었다. 지난해 보고서에서 ‘일부 고위 공무원이 온라인 사기 업장을 소유하고 있다’고 분석한 것과 비교해 고위 공무원에 대한 비판 수위가 높아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