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에서 ‘폭식 먹방’를 올린 뒤 돌연 사망한 먹방 유튜버 사례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과식이 심장마비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와 맞물리며 건강 리스크가 재조명되면서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심장 전문의 아메야 쿨카르니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 단 한 번의 과식으로 심장마비가 발생할 확률은 낮다”면서도 “이미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엔 과식이 심장 스트레스를 증폭시켜 발작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관련성은 연구로도 확인된다. 2000년 미국심장협회(AHA)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평소보다 과도하게 많은 식사를 한 뒤 2시간 안에 심장마비 위험이 4배까지 상승했다. 2005년 17개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에서도 과식·격한 운동·감정 스트레스가 심장마비 직전에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유발 요인으로 분류됐다.
실제로 지난해 7월 필리핀의 한 먹방 유튜버가 폭식 영상을 업로드한 다음 날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중남미 지역에서 활동하던 다른 먹방 유튜버 역시 37세라는 나이에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두 사례 모두 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기저에 만성질환 위험 요인을 보유한 경우, 과식이 심장에 치명적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이들에게 폭식은 심박수와 혈압을 급격히 올려 발작을 유발할 가능성을 키운다는 설명이다.
다른 전문가들도 같은 목소리를 낸다. 미국의 심장 전문의 스티브 코페키는 “고지방·고칼로리·가공 탄수화물 음식을 소화시키기 위해 혈류가 소화기관으로 몰리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과 심박수가 동시에 상승한다”며 “이때 동맥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전이 생기고, 몇 시간이 지나지 않아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식 이후 심장 이상이 의심될 경우 즉각 병원 방문이 필요하다. 대표 증상으로는 △가슴 중앙 혹은 좌측의 압박·통증 △팔·턱·목·등으로 퍼지는 방사통 △평소와 다른 호흡곤란 △식은땀·어지러움·무기력 △메스꺼움 및 구토 △불규칙하거나 빠른 맥박 등이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과식을 조절하기 어렵다면 식사 방식 자체를 바꾸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접시 절반은 채소·과일 같은 신선 식품으로 채우고, 나머지는 단백질과 탄수화물로 구성하는 방식을 권장한다. 포만감 인지에 약 20분이 걸리므로 식사 속도를 늦추고, ‘배부름’ 신호가 오면 즉시 멈추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음주도 자제해야 한다. 식사 후 10~20분 내 가벼운 산책은 혈압·혈당·중성지방을 관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청소년기자] 감정도 데이터가 될 수 있을까](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1127/p1065622525351600_669_thu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