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계에서 감독과 선수 간, 선후배 간 폭력과 폭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김승기 전 고양 소노 감독의 ‘수건 폭행’ 사건이 불거진 후, 피해자였던 김민욱의 연세대 재학 시절 과거 폭력 이력이 드러나며 엘리트 체육계의 뿌리 깊은 ‘폭력의 대물림’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시즌 도중 계약 해지 절차를 밟고 있는 김민욱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후배 때문에 가혹행위를 당하자, 화가 나서 그 후배를 엎드려뻗쳐 하게 한 다음 옥상에 있는 아이스하키 채로 때린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 엘리트 체육계에 만연한 폭력의 악순환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농구계 폭력과 폭언은 오랜 기간 지속해 왔다. 2014년 유재학 전 현대모비스 감독은 경기 중계 도중 선수 함지훈에게 ‘입에 테이프를 붙이라’는 모욕적 발언을 했고, 이듬해에는 김수찬에게 ‘꿀밤’을 때려 물의를 일으켰다. 당시 KBL은 300만 원의 제재금이라는 가벼운 처벌만 내렸다.
올 시즌에도 원주 DB의 김주성 감독과 부산 KCC의 전창진 감독은 작전시간 중 원색적인 욕설을 내뱉는 장면이 중계 화면에 그대로 포착됐다. 이에 KBL은 10개 구단에 ‘비속어 사용 주의’ 공문을 발송했으며, 향후 이 같은 행위가 재발할 경우 가차 없이 제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선수들 간 폭행은 그 전에도 있었다. 2021년 울산 현대모비스의 기승호가 팀 회식 자리에서 동료 장재석을 폭행해 안와골절을 입혔다. 이듬해 법원은 징역 6개월을 선고했고, KBL은 기승호를 리그에서 영구 제명했다.
지도자들의 일탈도 잇따랐다. 2014년 정재근 전 연세대 감독은 경기 중 판정에 불만을 품고 심판의 얼굴을 머리로 가격해 5년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다. 여자농구계에서는 국가대표 출신 코치가 초등학생 선수들을 상습 폭행해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김민욱의 학교 폭력 이력이 드러난 것과 관련해 KBL 관계자는 “2021년 배구계 이재영·이다영 사태 이후 문체부 권고에 따라 규정을 변경했다”며 “신인 선수들이 KBL에 입단하기 전 학교폭력 등의 전력이 있는지 서약서와 진술서를 받아 구단에 통보하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민욱 선수는 2021년 이전에 입단한 선수라 해당 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KBL은 현재 선수들의 과거 폭력 전력을 확인할 수 있는 강제력은 없는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수사기관이 아닌 만큼 과거 전력에 대해 직접 조사하기는 어렵다”면서 “학교폭력위원회 개최처럼 명백한 기록이 있는 경우는 필터링이 가능하지만, 그 외의 경우는 선수 본인의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대학운동부를 운영하는 대학들의 협의체인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KUSF)는 2025년부터 체육특기자로 들어오는 모든 선수들에 대해 학교폭력이력 확인을 의무제도로 도입했다. KBL은 강도 높은 제재로 폭력 사건을 줄여보겠다는 뜻을 밝혔다. 단체 관계자는 “폭력 관련 사항은 규약 72조 금지사항에 명시돼 있으며, 향후 유사 사건 발생 시 경고에서 최고 제명까지 강도 높은 제재를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폭력의 대물림이 끊이지 않는 근본적인 원인은 입시 제도에 있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진학 과정에서 감독의 권한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교 운동부에서는 감독의 영향력이 더욱 커진다. 주요 대학 체육특기생 전형의 경우, 전국대회 8강 이상 진출 팀에서 전체 경기 시간의 50~60% 이상을 출전해야 지원 자격이 주어진다. 개인의 실력과 무관하게 감독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대학 진학의 길이 막히는 것이다.
프로 진출을 꿈꾸는 선수들 역시 같은 상황에 놓인다. 감독의 추천서가 필요하고, 경기 출전 기회를 얻어야만 프로팀의 관심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선수의 미래가 감독 한 사람에게 달려있나 보니, 폭력이나 부당한 대우를 당해도 참고 견딜 수밖에 없는 구조가 형성됐다.
더욱더 우려스러운 것은 지도자들의 가혹행위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흔적이 남지 않는 언어폭력과 정서학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은근한 따돌림이나 심리적 가스라이팅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과도한 훈련을 통한 학대 방식도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피해 사실을 신고해도 적절한 보호를 받기 어렵다. 일반 학교폭력과 달리 지도자에 의한 폭력은 즉각적인 분리 조치가 법적으로 보장되지 않는다. 학교장의 재량에 맡겨져 있어 2차 가해의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더욱이 다른 학부모들이 자녀의 진학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피해자를 회유하거나 질책하는 일도 빈번하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학생들은 폭력이 문제 해결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학습하게 되고, 새로운 위계 관계에서 자신들이 겪었던 폭력을 그대로 재현하게 된다.
한국 체육계는 폭력의 대물림이라는 악순환을 끊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폭력 발생 시 즉각적인 분리 조치를 의무화하고, 심각한 학대 행위에 대해서는 영구 제명 등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더불어 입시 제도 개선을 통해 감독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단순한 처벌 강화를 넘어 권력 구조 개편, 실효성 있는 피해자 보호 시스템 구축 등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