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스젠더를 포함해 성별다양성(Transgender & Gender Diverse People)을 가진 한국인의 대부분이 성별확정수술(Gender Affirming Surgery) 후 삶의 질, 자존감 등 정신 건강 지표가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식샘 제거술과 가슴·유방 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성별 불일치감을 해소하는 데 의료적 개입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강동성심병원은 김결희 LGBTQ+센터 교수와 이선영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가 공동 책임연구자로 참여한 KITE(Korean Initiative for Transgender hEalth) 연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KITE는 한국 트랜스젠더와 성별다양성이 있는 사람들의 건강 및 성별확정의료 경험을 추적하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다. 성별다양성을 가진 인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의 의료기관 기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은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8개 의료기관에서 최소 1가지 이상의 성별확정수술을 받은 382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94.2%가 성별 표현이 개선됐다고 답했으며, 삶의 질과 자존감이 향상됐다는 응답은 각각 91.0%, 90.2%였다. 그 밖에 정신 건강 개선(88.9%), 성별 일치감 강화(88.4%) 등의 문항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확인됐다. 성별확정수술이 정신 건강과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여성의 신체를 타고났으나 스스로를 남성으로 인식하는 '트랜스 남성]의 99.5%는 유방절제술을, 73.7%는 자궁절제술을 받았다. 신체는 남성이지만 성 정체성이 여성인 '트랜스 여성'의 경우 80.7%가 고환절제술을, 63.6%가 외음부형성술(63.6%)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수술별 만족도는 생식샘 제거술이 85.1%로 가장 높았고 가슴·유방 수술(77.8%), 생식기 재건 수술(62.4%), 음성 여성화 수술(56.6%) 등의 순이었다.
이번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의 첫 수술 연령(중앙값)은 26세였으며, 그 중 98.9%가 평균 5년 이상 성별확정 호르몬요법을 유지하고 있었다.
김결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의 트랜스젠더와 성별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이 경험한 성별확정의료의 긍정적 효과를 객관적 데이터로 제시한 첫 연구”라며 “높은 만족도와 삶의 질 개선이 확인된 만큼, 의료 접근성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성형재건미용외과학저널(Journal of Plastic, Reconstructive & Aesthetic Surgery)’ 최신호에 실렸다.
한편 강동성심병원은 2021년 성소수자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LGBTQ+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국내 최초로 성확정수술과 동시에 정자동결술을 시행해 성공했으며, 협진 진료과별로 성소수자 전담 의사가 배정되는 '엘라이닥터' 제도를 통해 성소수자의 진료권을 철저하게 보장하고 있다.





![“30·40대 男 절반은 비만”… 한국 성인 비만율, 10년 새 1.3배 급증 [헬시타임]](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82YEL_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