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성인 3명 가운데 1명은 의학적 기준에서 비만에 해당하고 30~40대 남성의 절반 이상은 비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0년간 전체 비만율이 1.3배 가까이 증가한 가운데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고위험군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질병관리청은 10일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성인 비만율 심층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전국 258개 시군구에서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여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으로 의학적 비만에 해당하는 성인은 전체의 34.4%에 달했다. 이는 2015년 26.3%에서 크게 늘어난 수치로, 불과 10년 새 1.3배 가까이 비만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특히 남성의 비만율은 41.4%로 여성(23.0%)보다 약 1.8배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53.1%)와 40대(50.3%) 남성의 절반 이상이 비만 판정을 받아 상대적으로 젊은 층에서 고도비만 위험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만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0대(26.6%)와 70대 이상(27.9%)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비만 인식에 있어서는 성별 간 인지 차이도 뚜렷했다. 실제 비만인 사람 중에서는 여성의 89.8%, 남성의 77.8%가 스스로 비만임을 자각하고 있었고, 비만이 아닌 경우에도 여성(28.2%)이 남성(13.0%)보다 스스로를 비만이라 인식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이에 대해 윤영숙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비만 인식과 체중조절 행동은 사회·문화적 기대와 경제적 배경에 따라 달라진다”며 “여성에 대한 외모 중심적 시선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비만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남녀 모두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1년 내 체중 감량이나 유지를 위해 시도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남성 74.7%, 여성 78.4%에 달했다. 하지만 실제 유병률 추세는 여전히 오름세다.
지역별 비만율 편차도 뚜렷했다. 광역 단위 기준으로는 전남이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29.1%로 가장 낮았다. 기초지자체 단위로 보면 충북 단양군이 44.6%로 최상위, 경기 과천시가 22.1%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윤 교수는 “지역별 노인 인구 비중, 신체활동 환경 등의 구조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질병청은 “전 세계적으로 비만 유병률은 상승세로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아직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식단의 서구화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5세 이상 과체중·비만 비율은 36.5%로 OECD 평균(56.4%)보다는 20%포인트 낮다.
비만은 단순한 체중 문제를 넘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는 핵심 리스크로 지목된다.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은 물론, 대장·간·췌장암 등 주요 암의 발병과도 연관이 깊다. 체중 증가에 따라 대사·호르몬·면역 기능이 변화해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질병청은 “체중의 5~10%만 감량해도 대사 기능이 개선되고 질병 위험이 낮아진다”며 “최근 급증하는 비만치료제 관심을 계기로 식이 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는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소년 근시 방치하면 실명 위협 부른다 [건강+]](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2025110950884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