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생산량 30% 줄듯…자급률 ‘역주행’

2024-07-03

올해 밀 재배면적과 생산단수가 크게 줄면서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30% 급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밀 생산이 되레 후퇴하면서 정부의 밀 자급률 목표 달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2024년 맥류, 봄감자, 사과, 배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9536㏊로 지난해(1만1600㏊)보다 17.8% 감소했다. 2019년 ‘밀산업 육성법’이 제정된 후 매년 19∼40%씩 증가하던 재배면적이 처음으로 쪼그라들었다. 4월 농촌진흥청이 올해 재배면적으로 예측했던 1만2201㏊보다는 21.8% 낮은 수치다.

이상기후와 병충해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생산성도 크게 감소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올해 밀 단수(10α당 생산량)는 380㎏으로 지난해(447㎏)보다 15%가량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적용하면 올해 밀 생산량은 3만6237t이다. 지난해(5만1809t) 대비 30% 감소한 양이다. 밀 국내 수요가 연간 250만t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자급률은 1.4%에 그친다. 이는 정부의 올해 밀 자급률 목표치였던 4.2%(10만5000t)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문제는 이런 추세대로라면 정부가 내년 목표로 잡은 밀 자급률 5% 달성도 요원하다는 것이다. 일단 재배면적 감소가 문제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밀 파종기의 잦은 비로 파종 시기를 놓친 농가가 많았던 것이 재배면적 감소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

하지만 현장에선 민간 판로 부족으로 밀 생산에 정체기가 왔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송동흠 우리밀세상을여는사람들 운영위원장은 “지난해 파종기 전에 정부 공공비축 물량(2만5000t)을 사전 계약한 만큼만 파종한 밀 생산단지가 많다”며 “사실상 정부 매입 외에 판로가 마땅치 않아 재배면적을 늘리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밀농사로 얻는 소득이 생산을 유인할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태완 한국우리밀농협 상무는 “올해부터 공공비축 물량에 대한 품질관리 기준이 강화돼 낮은 등급을 받는 농가가 늘면 소득도 크게 감소할 것”이라면서 “여기에다 다른 작물과 다르게 밀의 전략작물직불금 지급단가가 인상되지 않으면서 밀 생산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지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현장에선 판로와 농가소득 모두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한다. 김 상무는 “대기업 등이 국산 밀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외국산보다 3.5∼4배 비싼 가격 때문”이라며 “정부의 밀 매입가를 낮춰 국산 밀의 공급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대신 농가소득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금 지급단가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내년에 밀에 대한 전략작물직불금 지급단가를 두배가량 올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밀 공공비축 물량을 점차 확대하고 수요자 요구에 맞는 고품질 밀 생산을 유도하는 등 밀산업 육성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혜 기자 hybrid@nongmin.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