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뉴스] 서다민 기자 = 지난해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영업이익이 4년 새 140% 폭증한 반면, 가맹점의 수익은 정체되는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은 2020년 대비 131%(892억원→2062억원), 영업이익은 140%(102억원→245억원) 증가했다.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상위 10개 브랜드의 가맹점 수는 평균 7914개에서 1만5692개로 평균 98.3% 증가했으나, 이 중 6개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하락했다.
같은 기간 가맹점의 평당 매출은 1499만원에서 1522만원으로 평균 1.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본사의 이익 증가율(140%)과 비교하면 거의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반면 가맹점들의 폐업률은 2.4%에서 4.6%로 2.2%p 상승했다. 이는 거리 제한 규제가 폐지된 뒤, 매장 간 출점 간격이 좁아지고, 가맹점 간 매출이 겹치는 ‘출점 경쟁형 구조’로 변한 결과로 보여진다고 허 의원은 설명했다.
허영 의원은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는 14년 전 거리 제한 규제가 폐지된 뒤 무제한 출점 경쟁으로 흘렀다”고 지적하며 “본사는 단기 출점 경쟁을 멈추고,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상권 포화도와 거리 제한을 반영한 자율 규제 기준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