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노동계와 유통업계의 쟁점으로 떠오른 ‘새벽배송 금지’ 논의와 관련해 한 워킹맘이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수단”이라며 금지 방안을 철회해달라는 청원을 올렸다.
13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이 등록됐다.
자신을 두 자녀를 둔 워킹맘이라고 밝힌 청원인 A씨는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정의 행복과 건강, 육아와 교육을 지켜주는 삶의 기반의 문제”라고 호소했다.
A씨는 이어 “국민들의 삶과 밀접하고 많은 일자리와 연결된 산업에 대한 규제는 많은 고려와 논의가 필요하다”며 “무작정 금지하는 것은 더 큰 불편과 사회적 갈등을 가져올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에게 필요한 게 무엇인지 더 나은 방법을 국회와 국토교통부에서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은 지난달 열린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유통업계와 물류업계는 “소비자 불편과 물류 일자리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새벽배송이 소비자 생활 전반에 자리 잡은 만큼 전면 제한은 현실성이 낮다는 주장이다.
소비자 여론도 업계 의견에 힘을 싣고 있다. 사단법인 소비자와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이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4%가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불편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이용 경험자의 99%는 “앞으로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포토뉴스] 주류도매업중앙회, 공병 수수료·TO제 유지 총력전 선포](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6/art_17629383219311_07f120.jpg)

!["새벽배송이 과로사 불러" 이 말 오류…80%는 야간만 일했다 [과로 내몰리는 사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2/2104f760-fb4f-43cb-8f34-fe065538945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