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2026학년도 수능 마무리...대체로 어려웠다는 평 많아
"작년보다 어려웠다" 재수생 반응도
[서울=뉴스핌] 박우진 조준경 고다연 기자 =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마친 수험생들은 대체로 홀가분한 마음을 보이면서 수험장을 나섰다.
하지만 예년 수준의 난이도로 출제했다는 평가와 달리 수험생들은 대체로 수학이 어려웠다고 답해 체감 난이도는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수능이 치러진 서울 서초구 반포고등학교 앞에서는 4교시 시험이 끝나는 오후 4시 37분 이전부터 수험생들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수험생 아들을 기다리기 위해 학교를 찾은 40대 학부모 조모 씨는 "어제까지는 안떨렸는데 오늘은 하루종일 떨렸다"며 "아들이 들어가면서 '잘하고 올게'라며 웃어서 찡했다"고 말했다.
형을 마중하러 온 동생 신모(11) 군은 "형이 재수만 안했으면 좋겠다"며 "형과 자전거를 같이 타고 싶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인 오모 씨는 울먹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오씨는 "아들에게 그동안 공부하라고 압박을 주고 잘 못해준 것 같아 후회가 된다"며 "나오면 수고했다고 안아주고 결과는 묻지 않으려고 한다"고 전했다.

비슷한 시간 서울 경복고등학교 인근에는 4교시 시험 종료를 앞두고 100여명에 가까운 수험생 가족들과 지인들이 모여들었다. 교문이 열리고 수험생들이 나오기 시작하자 가족들과 지인들은 "고생했다"는 말을 전하며 격려해줬다.
수험생들은 시험이 끝난만큼 홀가분한 마음으로 순간을 즐기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최모(18) 군은 "우선 시험이 끝났으니 좀 즐기려고 한다"며 "일단 수험생 할인 최대한 다 써버리고 무엇을 할지 다시 생각해봐야겠다"고 답했다.
반포고에서 수능을 마친 이종현(18) 군은 "처음엔 떨렸는데 막상 시작하니 시간이 너무 빨리갔다"며 "수능 끝났으니 유럽 여행을 가보고 싶다"며 웃었다.

아직 수시 결과 발표와 논술, 정시 모집이 있어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수험생도 있었다.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손모(18) 군은 "시험은 끝났지만 수시 발표를 확인하고 논술도 보고 정시 지원도 해야 해서 아직 긴장이 풀리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수험생들은 대체로 어려웠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특히 수학이 어려웠다고 소감을 밝혔다. 수험생 이모(18) 군은 "미적분이 가장 어렵게 느껴졌다. 모의평가와 비슷한 난이도였지만 떨려서 더 어려웠던 것 같다"며 "100분의 시간을 버티는데 체력적으로 힘들기도 했다"며 아쉬워했다.
재수생인 20대 김모 씨는 "이번 수능이 저번보다 어려웠던 것 같다"며 "오전에 속이 울렁거리고 부담감이 더 심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국어가 어려웠다는 수험생들도 있었다. 삼수생인 박모(20) 씨는 "국어가 제일 어려웠다. 비문학에서 과학 지문이 힘들게 했다"며 "작년보다 올해가 더 어렵게 느껴졌는데 멘탈 관리가 잘 안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수능은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졌다. 응시인원은 지난해(52만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어난 총 55만4174명이다. 총 응시자 수 시준으로는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응시자 수 증가는 출산율이 이례적으로 높았던 '황금돼지띠' 2007년생이 고등학교 3학년으로 수능을 보게 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수능에서는 탐구영역에서 이른바 '사탐런' 현상으로 과학탐구 응시자가 역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데다 의대 입학 문이 좁아지면서 상위 등급을 둘러싼 과탐 응시자들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은 이번 수능에 대해 "고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에서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성적 통지표는 다음 달 5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krawjp@newspim.com
![[수능] "일단 자유를 만끽할래요!"…수능 끝낸 수험생들 '활짝'](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51780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