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전 北무인기에 뚫린 靑…그때 김용현 살린 게 노상원 [尹의 1060일⑬]

2025-04-22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용현(66) 전 국방부 장관이 국회가 12·3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가결한 직후인 2024년 12월 4일 새벽 노상원(63) 전 정보사령관에 전화를 걸어 한 말이다.

사실 김 전 장관에겐 이번과 똑같은 데자뷰같은 위기의 순간이 그 10년 전에도 있었다. 2014년 3~4월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 때였다. 당시 김용현에겐 노상원은 구세주같은 해결사였다.

그해 3월 24일 파주에서 주민 신고로 추락한 북한 무인기가 발견된 게 발단이었다. 일주일 만인 같은 달 31일 백령도에 비슷한 무인기가 발견했다. 지역 기무사와 국가정보원, 경찰 등 초기 합동심문조 조사에선 “별다른 대공 용의점이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사건은 유야무야 묻힐 뻔했다.

그런데 4월 3일 언론이 파주 무인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선명한 청와대 본관, 비서동, 춘추관 건물 등 사진을 보도하면서 “청와대가 뚫렸다”는 논란으로 사건은 일파만파 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시 4월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제 추정 무인기가 우리나라를 전방위로 정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군 당국이 관련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던 것은 방공망, 지상정찰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사실상 공개 질타했기 때문이다.

당시 김용현은 청와대 외곽 방어를 책임진 국군 수도방위사령관, 노상원은 청와대 경호실 군사관리관(육군 준장)이었다. 두 사람이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과 비서실 정책장교로 근무하면서 친분을 맺었던 당시 직속상관 박흥렬 전 참모총장이 사건 당시 경호실장이었다.

당시 고위 관계자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고했다.

“김용현은 박근혜 정부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수방사령관에 보임됐는데 이력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긴거다. 당시 북한이 계속 미사일을 쏘고 핵실험을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외교안보 라인에선 긴장을 늦추지 말라는 경고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나오던 시점이었는데 북한 무인기에 청와대 상공이 뚫렸으니 박근혜 대통령이 그렇게 화를 낸 적 없을 정도로 안보실장을 박살을 냈다. 왜냐하면 그 무인기 경로를 보면 청와대 방공망이 뚫린거거든.”

안보실장은 물론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 박흥렬 경호실장까지 문책당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 청와대 외곽 경비를 담당하는 김용현이 책임져야 할 상황이었다. 김용현은 노상원을 찾았다고 한다.

당시 안보실 지시로 국방부에서 ‘북 무인기 사태 원인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무인기가 북한 정찰기란 보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기무사로 책임을 돌리는 물밑 작업이 벌어졌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