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이유린 기자) 2030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자산 투자 열기가 거세지고 있다. 초기 자본 장벽이 높은 부동산 대신 접근성이 높은 디지털 자산에 수요가 몰리면서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의 이러한 흐름을 “막을 방법은 없다”며 투자자 보호와 산업 성장을 위한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 ‘D-CON 2025’에서는 여야 정치인과 산학 전문가들이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현황과 정책 과제를 논의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개회사에서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과제와 발전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며 “산업 전환은 국가와 민간의 힘이 합쳐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헌승·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민병덕·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축사를 전했다.
이헌승 의원은 “투자자 보호와 산업의 역동성을 동시에 담아낼 균형 잡힌 제도 마련에 힘쓰겠다”고 밝혔고, 민병덕 의원은 “기존 금융이 마차라면 디지털 자산은 자동차”라며 “자동차가 달리려면 제도가 필요한 것처럼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혁신이 폭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2030세대가 디지털자산에 열광하는 이유는?
세션1 ‘K-디지털자산의 길’에서는 2030세대가 디지털자산을 선호하는 배경에 대해 집중 분석했다.
황정아 의원은 “2030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기술 수용성이 높다”며 “초기 자본이 많이 필요한 부동산보다 즉시성이 있고 접근성이 높은 디지털 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세대보다도 30대에서 디지털자산 투자 비중이 높은데, 이는 부동산 진입장벽과 얼리어답터적 성향이 영향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
천하람 의원도 “젊은 세대일수록 디지털자산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본다”며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올라 초기 자본이 필요한 투자보다 대체 투자 요소로 디지털자산을 선택하는 흐름”이라고 분석했다.
◇ 국내 제도, 왜 제자리인가...“정치가 거래소에 재 뿌렸다”
국내 디지털자산 제도 정비가 더딘 이유에 대해 정치권 내부 비판도 나왔다.
천하람 의원은 ‘1거래소 1은행’ 등 불필요한 규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부분이 많다며 “정치가 거래소에 재를 뿌렸다”고 비판했다. 또 “민감한 규제 부분은 건드리기 어려워 정치권 논의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으로만 쏠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근본적 제도 논의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짚었다.
또 황정아 의원은 한국의 가상자산 투자 심리에 대해 최근 국민의식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가상 자산 투자 확대 이유 1위가 법·제도 정비 전망(28.6%)”이라며 “투자자들이 원하는 정책 과제도 ▲가상자산 기본법 제정 ▲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 도입 순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형년 부회장은 “투자자들은 ‘투자 자유를 얻고 싶다’는 요구가 강한데, 국내 거래소를 억제하는 흐름 때문에 기회를 찾아 해외 거래소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세션 2에서는 류혁선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가 ‘K-신드롬, 디지털자산에서도 일어나려면?’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후 류 교수와 한서희 파트너변호사, 천창민 교수, 한혜진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논의를 이어갔다.
한혜진 교수는 “가상자산 관련 수업을 이어오고 있지만, 학생들의 피드백을 보면 시장 변화는 이미 막을 수 없는 단계에 와 있는 것 같다”고 말하며 산업 변화 속도가 임계점에 도달했다는 현장의 체감을 공유했다.
이어진 세션3에서는 박정호 명지대 교수가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뒤 강형구 교수, 김효봉 파트너변호사, 이효섭 선임연구위원이 함께 패널 토론을 이어갔다.
토론에서 김효봉 변호사는 “리스크를 우려한다면 그레이존을 그대로 둘 게 아니라, 명확한 규제 체계를 가능한 빨리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자산 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명확한 규제 틀을 하루빨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으로 해석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의 종목 이야기]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 비밀리에 IPO 신청](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AI가 재편하는 세계 질서, 한국 나아갈 길 찾는다” [2025 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93ed73aa-a510-4bf8-b2b6-e24aa98c9d70.jpg)
!["韓, 에너지 효율적 AI 개척하라... AI 잘쓰는 2000만명이 20억명 이긴다"[2025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f5d4b76d-bf57-45cb-8bd7-0922cc181ee7.jpg)

![“AI 경쟁력 3위권...AGI 경쟁 대비해야” 구혁채 과기정통부 차관 [2025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19e169a9-1a27-4366-9af7-c189f51a9ad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