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래선림(西來禪林)-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2025-02-10

내소사의 진입로에 있는 전나무숲 중간쯤에 지장암이 있다. 그 암자는 해안 큰스님이 살아계실 때만 해도 ‘서래선림西來禪林’이라고 했다. 암자라기 보다는 그냥 독립된 선방禪房이었던 것이다. 나는 그때 대학에 낙방하여 내소사에서 재수하고 있었는데 전나무숲을 오가며 지장암의 입구에 작게 쓰여 있는 ‘西來禪林’이라는 팻말이 매우 궁금했다. 서쪽에서 온 참선 숲? 그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서래선림에 첫발을 딛게 된 것이 닭장을 나온 어린 수탁 한 마리의 일탈한 인생 시작이었음을 그때만 해도 알 지 못했다. 후에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라는 영화가 있었는데 그 영화의 선전 포스터를 볼 때마다 나는 서래선림을 떠올렸다. 달마가 동쪽으로 갔다는 것은 그가 서쪽인 인도에서 온 것이고, 붓다의 법을 전파하러 중국으로 간 것이다. 고은의 『선(禪)』이라는 소설을 보면 달마가 동쪽으로 간 이야기를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내서 재미있다.

소설을 보면 달마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처음 갈 때 해로를 통해 베트남으로 상륙해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대목이 나오는데, 뱅골만을 벗어날 즈음에 이동 중인 수많은 철새 떼가 폭풍을 피해 달마 일행의 배로 내려앉는 일이 생긴다. 달마는 그 새 떼를 쫓거나 죽이지 말라고 지시한다. 선원들이 그 말을 잘 따랐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종료된 후, 배에는 수백 마리의 새들이 죽어 있었다. 그것을 보고 달마는 “저 새들은 늙어서 기력이 다해 죽은 것이다. 다만 늙었어도 포기하지 않았을 뿐이다.”라고 말한다.

무언가가 마음을 깊게 질러와 잠깐 호흡이 멈춰지는 대목이다. 우리는 나이 때문에 어떠한 일을 타자로부터 제재 받기도 하고 스스로 포기하기도 한다. 그러는 중에 점점 무기력해지고 죽음의 그늘이 가까이 드리워진다. 이게 일반적인 ‘늙음’에 대한 인식이다. 하지만 ‘다만 늙었어도 포기하지 않았을 뿐이다’라는 말은 강한 생명력을 느끼게 하면서 늙음에 종속되지 않는 생명과 한 존재의 삶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일 뿐이라는 것을 강하게 각인시킨다. 하바드 출신 명상의학자 디팩초프라에 의하면 ‘노화’란 하나의 개념일 뿐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는 오로지 자신의 생명을 끝까지 발현하다가 소멸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한다. 인간이라는 영장류만이 유일하게 생각하는 힘이 있어 늙음이나 죽음 따위를 가지고 고민하고 두려워하며 살고 있는 것이지, 나무는 천년을 살아도 스스로 늙었다거나 죽을 때가 다 되었다거나 하는 생각 없이 그저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다 갈 뿐이다. 죽는 그날까지 생명을 발현하는 즐거움과 기쁨으로만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스스로의 이상향을 향한 새들의 자유로운 날갯짓은 늙음과 무관하며 생명을 다하는 그 순간까지 날갯짓을 멈추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참으로 감동적이다. 

각설하고 나는 대학 진학을 위한 공부보다는 서래선림에 빠져 살았다. 해안 큰스님께서 우리말로 옮겨 놓은 ‘반야심경’을 끼고 살며 큰스님의 상좌인 혜산스님, 철산스님, 동명스님과도 가까이 지내며 살았다. 급기야 나는 서래선림 코 밑에 있는 민가로 거처를 옮겼는데 그러고 얼마 안 있어 큰스님이 입적하셨다. 그러자 그 많던 사부대중이 모두 떠나고 나만 남았다. 아니, 일지스님이 절을 지키기 위해 서래선림으로 돌아오셨고 그때부터 서래선림의 시절은 가고 지장암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박두규 시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래선림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