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인성 쇼크’도 심부전·심근경색 등 원인별로 사망률 달라…“맞춤 치료 필요“

2024-10-04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등 심장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심인성 쇼크의 원인 질환에 따라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양정훈·최기홍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2010년~2020년 중환자실에 입원한 18세 이상 심인성 쇼크 환자 13만 6092명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동안 환자의 사망률은 감소하고, 치료비용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심인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급격하게 나빠져 우리 몸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연구 결과 심인성 쇼크로 인한 원내 사망률은 심부전이 원인일 때 40.3%로 심근경색(28.5%)으로 인한 경우보다 높았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사망 위험이 심근경색이 원인이 환자보다 1.4배 이상 높은 셈이다.

이는 퇴원 후에도 나타났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퇴원 후 추적 관찰 사망률은 19.3% 였던 반면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는 8.5%로 낮았다.

연구팀은 은 심인성 쇼크가 심장 기능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인 질환에 따른 동반 합병증의 회복 정도가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바라봤다.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의 경우 84.2%가 심혈관중재술 또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았고, 7.5%가 에크모(ECMO) 치료를 받았다. 심부전이 원인이었던 환자는 이런 치료를 받은 비율이 각각 17.6%, 4.8%로 낮았다. 반면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는 심장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심근경색 환자보다 1.67배 높았다. 같은 심인성 쇼크처럼 보여도 심부전의 주원인인 경우 좌심실보조장치 및 심장 이식 등의 고난도 심장 대체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식 장기 부족 및 기계순환보조장치 보급 제한 등 국내 여건상 고난도 심장대체 치료의 어려움이 임상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유럽심부전학회지(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에 실렸다.

연구팀은 또 심인성 쇼크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등급이 높을수록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중환자의학 국제 학술지(Critical Car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심인성 쇼크 환자 7만 2950명을 대상으로 병상당 간호사 수를 따져 1등급(0.5명 미만), 2등급(0.5명 이상 0.63명 미만), 3등급 이상 군(0.63명 이상 0.77미만)으로 나누어 사망률 차이를 비교한 결과다. 심인성 쇼크로 인한 병원 내 사망률은 간호 1등급 30.6%, 2등급 37.5%, 3등급 40.6%로 계단식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환자실 내 간호사 수를 늘리는 게 국가 전체 차원에서도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추계도 나왔다. 간호 1등급의 경우 환자 1인당 비용이 2등급 보다 199달러, 3등급 보다 423달러 추가 발생하지만, 1년을 기준으로 1등급일 때 2등급인 경우보다 14.1일, 3등급인 경우보다 29.3일 환자가 더 생존했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해 1등급인 병원과 같은 생존기간을 기대하려면 2등급 병원에서는 연간 2만 5047달러, 3등급 병원이 4만 2888달러를 더 들여야 한다는 계산도 나왔다.

양정훈 교수는 “고령화 사회를 맞아 심인성 쇼크 환자는 늘고 있지만 사망률이 줄어드는 추세인 것은 그만큼 심장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순환보조 장치 등의 의료기술 발달과 투자의 증가, 심장 중환자 전문의와 간호인력 확충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결합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높은 사망률은 여전히 넘어야 할 과제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기증 문화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