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8일 LA 다저스 투수 쇼헤이 오타니가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3홈런을 터뜨리고 10탈삼진을 기록하며 팀을 월드시리즈로 이끌었다. 디애슬레틱은 22일 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이 기록에 대해 “스포츠 사상 가장 위대한 개인 퍼포먼스 중 하나”라며, 각 종목에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순간’을 전했다.
오타니는 단 한 경기에서 타자로 3개 홈런을, 투수로는 10개 삼진을 잡아내며 다저스를 승리로 이끌었다. 그는 “팀이 월드시리즈에 진출하는 순간, 모든 기록이 가치 있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디애슬레틱은 “한 사람이 공격과 수비, 두 영역 모두를 지배한 사례는 현대 스포츠에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며 “진정한 ‘양손의 천재’였다”고 평가했다. 디애슬레틱은 “위대한 개인 경기란 승패나 종목을 초월한다”며 “그것은 인간이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를 증명한 순간”이라고 정리했다.
■아르헨티나 디에고 마라도나, 1986년 멕시코월드컵 마법
1986년 월드컵 준결승에서아르헨티나가 벨기에를 2-0으로 꺾었다. 마라도나는 두 골을 넣었고, 그보다 더 위대한 건 경기 전체를 지배한 존재감이었다. 디애슬레틱은 “그날 마라도나는 마치 다른 행성에서 온 사람 같았다”며 “리오넬 메시조차 그 정도 지배력을 보여준 적은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의 플레이 영상은 지금도 유튜브에서 9분짜리 ‘예술 작품’으로 남아 있다.
■리오넬 메시와 킬리안 음바페, 2022년 월드컵 결승 ‘신들의 전쟁’
아르헨티나와 프랑스 간 2022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은 메시와 음바페가 만들어낸 ‘역대급 개인 퍼포먼스 대결’이었다. 음바페는 해트트릭으로 프랑스를 끌어올렸고, 메시 역시 두 골을 넣으며 ‘마지막 퍼즐’을 완성했다. 결국 승자는 메시였지만, 두 선수의 대결은 “승패를 넘어 인간 능력의 극치”로 평가받는다.
■브라질 여자축구 간판 마르타, 여자축구의 예술
2007년 중국 여자월드컵 준결승에서 브라질이 미국을 4-0으로 제압했다. ‘여자축구계 펠레’ 마르타는 2골을 넣으며 미국의 51경기 무패행진을 끝냈다. 특히 두 번째 골은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골”로 불리며, 브라질 축구의 미학을 완성했다. 당시 해설자 루시아누 두 발레는 “그 골을 설명할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경탄했다.
■톰 브래디, 2015 슈퍼볼의 ‘완벽한 복수’
슈퍼볼 XLIX에서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쿼터백 브래디는 경기 막판 10점 차를 뒤집는 기적을 연출했다. ‘리전 오브 붐’이라 불린 시애틀의 강력한 수비를 상대로 브래디는 4쿼터에 15개 패스 중 13개를 성공하며 터치다운 드라이브를 두개 완성했다. 이 경기는 “NFL 역사에서 가장 완벽한 역전 드라마”로 남았다.
■우사인 볼트, 인간의 한계를 넘어
2009년 베를린 세계육상선수권 남자 100m 결승. 자메이카 볼트는 9.58초 세계 신기록으로 인류의 한계를 새로 썼다. 80m 지점에서 이미 경쟁자들을 따돌린 그는 결승선을 통과하기 전 고개를 돌려 주변을 둘러보며 여유 있게 들어왔다. 그때 0.11초 단축은 전자시계 도입 이후 가장 큰 폭의 기록 단축이었다. 전문가들은 지금도 “그가 전력 질주를 했다면 9.4초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