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 서버 캄보디아에”…내년 선거 앞두고 지방의원 딥페이크 협박 기승

2025-10-22

부산시의회 남성 의원 2명이 자신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이미지합성기술) 범죄를 당하자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의원들을 겨냥한 딥페이크 범죄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2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A의원은 지난 15일 음란물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과 함께 “공개를 원하지 않으면 돈을 내놓으라”는 협박성 문자를 받았다. A의원은 스팸 문자라 여기고 이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자 온라인상에 번호가 공개된 부산시의원들에게 A의원의 얼굴이 합성된 딥페이크 사진이 무차별적으로 유포됐다.

A의원은 다음날 곧바로 자신을 협박한 이를 정보통신망법상 위반으로 경찰에 고발했다. A의원은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진이 동료 의원들에게 유포돼 황당하다”며 “2차 범죄를 막기 위해 어쩔수 없이 휴대번호를 바꿨는데 내년 선거를 앞두고 활동에 지장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어 “딥페이크 사진이 가짜라고 적극적으로 해명할 수도 없어 답답하다”며 “특히 어르신들은 딥페이크 범죄를 잘 알지 못해 가짜 사진을 진짜인 줄 아실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B의원은 지난 18일 신원을 알 수 없는 이로부터 텔레그램을 통해 자신이 합성된 가짜 사진을 받았다. B의원의 얼굴을 합성한 남성이 불상의 한 여성과 팔짱을 끼거나 손을 잡고 있는 사진이었다. 신원미상의 가해자는 “내년에 구청장 출마하면 가만두지 않겠다”며 “나체 사진부터 불륜 사진까지 여러 개를 만들어놨다”고 협박한 뒤 곧바로 텔레그램 계정을 탈퇴했다고 한다.

딥페이크 제작 서버 캄보디아에…경찰 수사 지지부진

두 의원 모두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지만, 범인 검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A의원은 “경찰 수사 결과 딥페이크 제작 사이트가 캄보디아 등 해외 서버를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경찰 수사는 계속 진행하지만, 가해자를 특정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부산 동구의회 김희재 의원 등 구의원 10여명이 딥페이크 범죄를 당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지만, 답보 상태다.

부산시의회는 재발 방지를 위해 시의원 대상으로 피싱 사기 방지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원석(사하구2) 부산시의원은 “의회 차원에서 신고센터를 운영해 신속한 수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가해자 처벌 강화 등 재발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