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번째 봄에도 인양되지 않은 세월호의 진실

2025-04-16

세월호 참사는 명백한 인재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해양수산부 소속 해양심판원은 최근 급격한 선회 등을 발생시킨 외력설을 배제하고 조타 장치 고장과 복원력 부족 등 선체 자체에서 사고가 비롯됐다면서 적극적 구호 조치를 이행하지 않는 등 총체적 안전관리 부실로 결론내렸다.

4·16가족협의회,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기록관을 상대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행적을 담은 기록물에 대해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나섰다. 탄핵 이후 황교안 당시 권한대행의 결정으로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돼 진상 규명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국회와 정부에 기록물법을 개정하고 10·29 이태원 참사, 12·3 비상계엄에 대해서도 모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왜 구조하지 않았나, 왜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가. 10년이 넘도록 그 날의 진실은 아직도 인양되지 못하고 있다. 무고한 304명이 희생됐다. 참담했다. 무력했다. 그리고 열한번째 봄이다. 남은 가족에겐 죽기 전까지 사무칠 그리움이다. 절대로 가늠하기 힘든 슬픔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런데도 국민들은 여전히 갖은 위험에 놓여 있다. 다시는 통한의 비극이 있어선 안 된다고, 참사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고 다짐을 했지만 헛구호에 그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서울 도심 이태원 압사,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경기 화성 아리셀 공장 폭발, 영남권 대규모 산불 피해까지 잇따르며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가 한국리서치, 씨지인사이드와 실시한 인식 조사에서도 10명 중 4명이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책임은 중앙정부와 대통령, 지방자치단체에 있다고 했다.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역량 강화의 요구가 높은 것이다.

참사 없는 대한민국은 잊지 않고 행동할 때 가능하다. 모든 국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강력하게 연대해야 한다. 생명의 가치는 무엇보다 존중받아야 한다. 광주·전남지역 곳곳에서도 다양한 추모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5·18 민주광장엔 합동분향소가 차려졌다. 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소명을 실천해야 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