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인 경북 경주는 물론 이웃 도시인 포항시까지 그 열기가 전해지고 있다. 특히 포항 북구 흥해읍 영일만항 부두에 전 세계에서 찾아온 경제인들이 대형 크루즈 선박에 묵게 된 것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일종의 ‘낙수 효과’다.
30일 포항시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00대의 드론 군집 비행과 1만5000여 발의 불꽃쇼가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을 수놓았다. 포항시가 주최한 ‘APEC 2025 정상회의 성공 기원 불꽃&드론쇼’가 열리면서다. 이날 행사에는 순간 최대 인원 5만명, 총 누적 방문객 8만명이 모여 불야성을 이뤘다.
APEC 기념 문구 수놓은 드론쇼
행사는 KBS 2TV ‘불후의 명곡’ 우승팀인 경기민요 소리꾼 이희문이 이끄는 ‘이희문 오방신과(OBSG)’와 DJ 카주쇼타임의 무대 공연으로 시작됐다. 이어 1000대의 드론 군집 비행으로 펼쳐진 축제 하이라이트에서는 포항의 상징물과 경주 APEC 개최 기념 문구를 하늘 위에 그려 탄성을 자아냈다. 1만5000여 발의 불꽃이 바다 위로 터지며 분위기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인근 카페에서 근무하는 박지은(28)씨는 “평소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의 손님들이 카페를 찾아와 놀랐다”며 “경주에서 열리는 큰 행사의 영향으로 포항까지 활기가 도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불꽃&드론쇼에 이어 오는 31일과 다음 달 1일에는 송도해수욕장 일대에서 ‘APEC 포항해양미식축제’도 개최한다. 포항시가 경주 APEC 정상회의 개최를 기념해 마련한 국제 축제다. 포항시는 APEC 회원국의 경제인과 관계자들에게 ‘바다의 도시 포항’의 해양미식문화를 소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사는 오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진행되며 낮 시간에는 포항 대표 음식과 수제맥주, 푸드테크 시연 등 체험 프로그램이, 밤에는 낙화놀이·미니 불꽃쇼·EDM 파티가 어우러진 감각적인 야간 축제가 펼쳐진다.
과메기·문어…포항 미식문화 홍보
메인 프로그램인 ‘포항 SEA 푸드존’에서는 과메기, 물회, 문어 등 지역 대표 해양음식이 소개되며 ‘바다치맥 라운지’에서는 송도해변의 야경을 배경으로 K-치맥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축제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함과 동시에, 포항의 해양미식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국제 무대가 될 것”이라며 “전통의 맛과 첨단 푸드테크가 어우러진 ‘미식도시 포항’의 비전을 전 세계에 선보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축제 행사 외에도 글로벌 투자 유치를 위한 노력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29일 라한호텔에서 해외 투자자와 외신기자를 초청해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Invest KOREA Summit) 2025 지자체 간담회 및 산업시찰’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산업시찰은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해외 투자자들이 직접 지자체 산업 현장을 방문해 산업 인프라, 투자 환경, 거주 여건 등을 확인하고 향후 투자 판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됐다.

해외 투자자들 포항업체 산업시찰
포항시는 영일만일반산업단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를 중심으로 이차전지·수소·바이오·AI·디지털 등 미래 신산업의 경쟁력과 육성 전략과 투자 비전을 소개했다.
또 영일만산단 부품소재전용공단에 입주한 대표 기업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가 기술력과 글로벌 성장 비전을 발표했다.
포항에 위치한 포항경주공항도 이번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단계 도약했다는 평가다. 평소 하루 6편의 국내선만 오가던 소규모 공항이 국제공항 수준의 편의시설과 보안시설을 갖추면서다.
실제로 세계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포항경주공항을 이용해 원활하게 입국했다. 지난 28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을 필두로 CEO 서밋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글로벌 경제인과 관계자들이 포항경주공항을 통해 입국해 경주로 향했다.




![[포토] APEC 2025 본격 개막](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9/news-p.v1.20251029.3bae48414a9c41bba1eaf97e5c0351e3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