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혈압과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기간이 의료기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 이하의 소규모 의료기관일수록 입원 기간의 편차가 심해 비효율적인 의료 이용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7일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내용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0일로 31.1일(-81.6%) 감소했다.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27.3%)로 줄었다.
고혈압, 폐렴 환자의 입원 기간 차이가 나는 원인 중에서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의 경우 폐렴은 2010년 21.0%에서 2019년 9.6%로 감소했다. 고혈압은 2010년 25.7%에서 2019년 31.3%로 증가했다.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의원)로 구분했을 때 2019년 기준 입원 기간의 의료기관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 폐렴은 각각 6.5%, 26.0%로 조사됐다.
고혈압, 폐렴 모두 종합병원급 이상에 비해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기간이 더 많이 늘어난 것이다.
건보공단은 “이 결과는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한다”며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기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폐렴의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 정립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