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파업체 코리아카코, 울산화력 붕괴 사고 9일 만에 사과

2025-11-15

유족에 사과 뜻 전해…"구조검토서 따라 시공, 원인 규명 협조"

현장 작업자 중 정규직은 1명뿐…나머지는 모두 계약직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7명의 사망자를 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발파 해체 작업을 담당한 전문업체 코리아카코가 사고 발생 9일 만에 유족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다만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추정하기 어려워 답답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15일 오전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 주변에서 석철기·김래회 코리아카코 공동대표 등 임직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코리아카코는 보일러 타워 4·5·6호기 해체공사의 시공사인 HJ중공업으로부터 발파 해체 작업을 하도급받은 업체로, 이들이 사과의 뜻을 밝힌 건 사고 발생 9일 만이다.

석철기 대표는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예상치 못한 비극을 겪는 유가족께 무거운 마음으로 사과와 위로를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가족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수사기관 요청을 포함해 원인 규명에 필요한 절차에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측 설명에 따르면 사고 당시 타워 25m 지점에서는 일부 취약화 작업(대형 구조물 철거 때 목표한 방향으로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것)과 함께 방호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다만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구조검토서에 따라 시공했을 뿐"이라며 "추정할 수 없어 우리도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또한 위험 작업에 정직원 1명만 배치되고 나머지 인력은 모두 계약직이었던 이유에 대해 김래회 대표는 "평소 우리 직원들과 지속해 일했던 기능공들이고, 일부 일용직은 화재 감시나 신호 등 업무를 맡았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해체 작업 방식인 와이어를 연결한 전도 공법을 쓸 수 있지 않았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와이어는 사람이 설치하기 위해 대상물에 직접 올라가고 다가가야 해서 발파 해체 공법이 훨씬 안전하다고 판단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나머지 질문에는 "수사 중이라 말하기 곤란하다"며 대답을 피했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현장에 있던 코리아카코 소속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고 2명이 다쳤다. 매몰자 7명은 소방 당국에 의해 모두 구조됐으나 전원 사망했다. 이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계약직인 것으로 확인됐다.

doso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