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0214/p1065538982018239_962_thum.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양 관상학의 흥미로운 개념인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상정(上停), 중정(中停), 하정(下停)을 통해 우리 자신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얼굴은 한 사람의 운명과 성품을 읽는 지도와 같습니다.
삼정(三停)은 얼굴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이 삶의 다른 단계를 나타낸다는 관상학적 개념입니다. 이 칼럼에서는 삼정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 삶에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상정(上停)은 지혜와 가능성의 시작점을 보는 자리입니다. 이마부터 눈썹까지 청소년기(15~30세)로서, 지능, 사고력, 선천적 운명을 나타냅니다. <관인보감>에는 “상정이 넓고 밝은 자는 지혜롭고 원대한 계획을 세운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현대적 관점으로 해석하면 현대 심리학에서의 인지 능력과 유사성을 보인다고 보면 됩니다. 이런 이마를 가진 사람은 지적 능력이 뛰어나고 창의적이며 부모 복과 윗사람 복이 좋고 학업 운이 길합니다. 그러나 상정이 좁거나 어두워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상정은 선천적 운명을 나타내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청소년기는 배움과 성장의 시기입니다. 지금의 노력이 미래의 기반이 됩니다. 상정이 어떻든, 꾸준한 자기 계발로 지혜를 키워나가면 충분히 빛나는 미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중정(中停)은 노력과 성공의 시기를 보는 자리입니다. 눈, 코, 뺨을 포함하며 중년기(31~50세)로서, 나의 능력, 의지의 강약, 결단력, 실행력, 성격, 심리, 부와 명예, 즉 본인의 신체와 행운과 권위를 나타냅니다.
<마의상법>은 “눈이 밝고 코가 높은 자는 리더십과 결단력이 뛰어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대적 관점으로는 얼굴의 중앙부가 감정 표현과 의사소통의 중심임을 반영한다고 보면 됩니다. 중년기는 인생의 전성기입니다. 중정이 부족해 보여도 성실한 노력과 긍정적인 마인드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자신의 강점을 발휘한다면 원하는 성공을 이룰 수 있습니다.
하정(下停)은 안정과 행복의 완성을 보는 자리입니다. 입과 턱을 포함하며, 노년기(51~100세)로서 인내력, 아랫사람의 복, 주택 운, 땅, 주거지, 말년 운을 나타냅니다. 턱이 단단하고 입술이 두툼하면 건강은 물론이고 가정 운과 자녀 덕, 인덕 또한 좋아서 말년이 풍요롭고 안정적인 삶을 삽니다. 현대적 관점에서는 목표 달성 능력과 연결 지을 수 있습니다.
노년기는 인생의 결실을 거두는 시기입니다. 하정이 약해 보여도 평소 건강을 관리하고 마음을 넓게 가지면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후손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면 정신적 풍요를 누릴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삼정은 어느 한 부분이 뛰어나지 않고 각 영역이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이상적입니다. 삼정의 균형은 삶의 조화를 이루는 법이라고 보면 됩니다. 지혜(상정), 노력(중정), 안정(하정)을 모두 갖추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정은 우리의 얼굴에 새겨진 운명의 지도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관상학적인 의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노력과 의지가 진정한 운명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상정이 좁아도 배움을 멈추지 말고, 중정이 약해도 꿈을 포기하지 말며, 하정이 부족해도 건강과 행복을 위해 노력하면 됩니다.
“얼굴은 운명을 보여주는 창이지만, 마음은 운명을 바꾸는 힘입니다.” 현대적 관점에서 삼정의 이론을 재해석하고 활용한다면, 자기 이해, 교육, 기술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고 봅니다. 삼정의 의미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희망의 길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오서연 원광대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외래교수
[저작권자ⓒ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