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빅4, 1년 만에 고용 1600명 늘렸다

2025-05-01

수출 신화를 쓰고 있는 국내 4대 방산 기업이 최근 1년간 고용을 1600명 가량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과 유럽, 중남미 등으로 수출 시장을 넓히면서 연구개발(R&D) 인력을 공격적으로 확충한 때문이다. 방산 업계는 인력 확충을 발판으로 R&D를 대폭 강화해 차세대 방산 기술인 무인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방산 4총사로 꼽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와 한국항공우주(047810), LIG넥스원(079550), 현대로템(064350)의 임직원수가 지난해 말 기준 2만 172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임직원 수가 1594명 증가한 것으로 K-방산 수출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2022년(1만 6133명)에 비하면 5590명이나 급증한 것이다.

임직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한화에어로인데 작년 말 기준 7659명으로 1년 만에 843명이 늘었다. 2년 전 3690명에 비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한화에어로 내 방산 부문 인력이 2022년 1724명에서 지난해 5330명으로 3배 이상 급증한 것이 주로 영향을 미쳤다. 현대로템도 임직원 수가 2022년 3591명, 2023년 3938명을 거쳐 지난해 4182명으로 591명 증가했다. 2년간 방산 부문 인력 증가는 회사 전체보다 많은 787명에 달했다.

유도무기 체계와 지대공 미사일 등을 설계·제작하는 LIG넥스원은 R&D 부문을 중심으로 임직원 수가 늘어났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말 기준 임직원 수가 4789명으로 2023년 말보다 512명이 증가했는데 이 중 329명이 R&D 인력이다. 공기업인 한국항공우주는 2022년 5079명, 2023년 5098명, 2024년 5093명으로 인력 규모가 대동소이했다.

주요 방산업체들이 전방위적으로 인력을 확충하고 나선 것은 역대급 호황을 맞아 전차·자주포 등 주력 수출품의 생산 능력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서다. 폴란드와 180대 규모의 K2 전차 공급계약을 맺은 현대로템은 올 1분기에만 26대의 전차를 납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내 1차 계약 분인180대의 인도를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에어로는 유럽향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의 수출이 크게 늘면서 1분기에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인 매출 5조 4842억 원, 영업이익 5608억 원을 기록한 바 있다.

방산업체들은 수출이 늘면서 R&D를 고도화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화에어로와 현대로템은 K9 자주포와 K2 전차의 수출 시장을 넓히기 위해 현지 지형과 기후에 맞는 개량형 제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캐나다에 K9 자주포를, 현대로템은 루마니아와 중동에 K2 전차를 올 해 각각 수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방산 빅4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무인화 기술의 선제적 확보에도 공을 쏟고 있다. 한화에어로와 현대로템은 다목적 무인차량 개발에 성공했으며 KAI는 자체 다목적 무인기에 AI 파일럿을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개발에 매진, 이르면 내년 중 다목적 무인기 실증을 진행한다.

LIG넥스원은 미국 사족보행 로봇 전 기업인 고스트로보틱스를 인수하고 유무인 복합체계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15년부터 무인수상정 ‘해검’ 시리즈를 개발 중인 LIG넥스원은 최근 미국의 AI기반 방산 테크기업인 안두릴테크놀로지와 차세대 무기 체계를 고도화하기로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