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리포트] AI, 그리고 ‘기획된’ 상상력

2025-03-26

맞잡은 청년 두 사람의 손에는 땀이 흘러내립니다. 이제 막 운동장을 뛰쳐나온 두 사람은 학교의 문을 닫고 세상을 향해 발을 내딛으려 합니다. 한 친구가 외칩니다. “이 길의 끝에 뭐가 있는지 우리로서는 알 수 없지만, 한 번 가보는 거야.”

영화, 드라마 어디선가 본 듯한 이 청춘의 한 장면은, 사실, 그 본질이 기업가정신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확실한 현실을 과감히 박차고 일어나는 것이죠.

AI의 발전과정도 그렇습니다. 1950년대 “기계도 인간처럼 생각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 앨런 튜링의 상상력에서 시작된 AI 연구는 컴퓨터 성능의 한계 때문에 1990년대까지 발전할 수가 없었죠. 그런데 갑자기 2009년부터 AI 기술은 미친 듯이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일 때문이라고 합니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연구를 하던 앤드류 응 교수는 “AI가 학습을 하는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합니다. 그러던 중 게임 개발자들이 CPU가 아니라 GPU를 이용해 병렬적으로 여러 연산들을 수행하는 것을 보고, 이렇게 생각합니다.

“흠 저거 우리도 한 번 써 볼까?”

때마침 2007년 엔비디아는 병렬 연산을 개발자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CUDA’를 발표합니다. 이제 앤드류 응 교수는 GPU로 딥러닝을 시키면 신경망 학습 속도가 얼마나 빨라지는지를 측정하고 논문을 발표합니다.

“CPU로 꼬박 몇 주는 걸리던 인공지능 신경망 학습이, GPU를 쓰니까 하루 만에 가능했습니다.” 미친듯한 AI 기술의 성장이 가능했던 계기는 ‘우연’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그런 GPU를 만든 젠슨 황은 이 모든 것들을 계획했었던 것 아닐까요? 천만의 말씀. 그는 2011년 스탠퍼드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사업계획서도 끝까지 작성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심지어 이런 일화도 소개합니다. “어머니 저는 3D게임을 위한 컴퓨터 칩을 만들 거에요.” (젠슨 황) “그러지 말고 직업을 찾는 게 어떠니.” (어머니)

하루하루 먹고 살기 힘들었던 그의 머릿속에 ‘GPU가 AI 발전을 위해서는 최고의 도구가 아닐 수 없어. 그러니 나는 위대한 GPU를 만들어서 인공지능 발전에 기여할 거야’라는 아주 구체적인 계획이 과연 자리 잡을 수 있었을까요. 지난 17일부터 일주일 동안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행사 GTC에서 엔비디아는 계획들을 흩뿌립니다. 로봇, 양자컴퓨터, 휴머노이드 등등…. 모든 분야의 일들을 다 하겠다는 이야기는 아무 계획도 없다는 말과 동급입니다. AI의 핵심에 있다는 엔비디아 조차 미래를 계획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사람들은 AI의 발전이 계획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계획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이렇게 놀라운 발명품이 내 앞에 놓여져 있을 수 있는지 도무지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떤 발명품도 계획된 것은 없습니다. 마치 우리 머릿속 신경망의 연결처럼 우리 사회와 그 사회 속에 있는 구성원들의 연결 속에 우연히 탄생되는, 신의 창조물과 같은 방식으로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그런 우연이 연결될 수 있는 망을 짜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걸 ‘계획’이 아니라 ‘기획’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미국 국방부가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과학기술 기반 스타트업들을 육성하고, 제품을 구매해 주고, 다른 기업들과 연계시켜가며 키우는 활동들을 합니다.

뭐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갖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끝에는 뭐가 있는지 모르지만 보다 나은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뿌옇지만 활기찬 청춘의 믿음을 갖고 사람들을 모으며 상상력을 ‘기획’해나갑니다.

그 결과 탄생한 것들이 ‘인터넷’, ‘GPS’, ‘마우스’, ‘음성인식기술’, ‘자율주행차’, ‘드론’, ‘탄소섬유’ 등입니다. 이 모든 결과를 미국 국방부가 예상하고 있었을까요?

한국의 정치권에서 엔비디아 같은 회사를 정부가 투자해서 만들고 그 이익을 공유하는 모델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초기 설립자금의 48%를 대고, 부유한 대만 가문들에게 직접 투자도 요청하는 한편,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대만의 TSMC처럼 계획된 기업들을 만들겠다는 방향성도 하나의 성장 모델로 타당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동시에 잊지 않았으면 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아무것도 걸지 않는 사람들을 뒤로 한 채, 불확실한 미래를 앞에 둔 채,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뛰어든 사람들을 모아서 서로 도와주는 망을 만들며 미래를 ‘기획’하는 일입니다. 그런 ‘기획’이 어쩌면 가장 좋은 ‘계획’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신현규 / 글리터컴퍼니 대표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