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X(인공지능 전환)가 글로벌 기업들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8곳은 인공지능(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은 투자비용과 인력 확보 등을 이유로 AI를 도입하는 것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국내 기업들은 AI 도입의 효과에 대한 확신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8일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조사를 바탕으로 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AI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데 국내 기업들은 돈도 사람도 확신도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여전히 AI를 경영 활동에 적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대기업(49.2%)보다는 중소기업(4.2%)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비용에 대해 느끼는 부담감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기업의 73.6%는 AI 도입을 위해 투입하는 비용에 대해 '부담이 된다'고 답했으며 이 역시 대기업(57.1%)보다 중소기업(79.7%)의 부담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지역 제조업체 한 곳은 "생산공정만 해도 AI로 전환하려면 데이터 축적을 위한 라벨이나 센서를 부착하고 CCTV를 설치하고 솔루션 구축, 인력 투입 등 기존에 생각하지 못한 자금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AI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어렵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19.3%에 불과했고 80%가 넘는 기업들이 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 충원에 손을 놓은 기업들이 82.1%나 됐고 내부 인력을 교육을 통해 전환하는 기업은 14.5%, 외부 인력을 채용하는 기업(3.4%)은 100곳 중 4곳이 안됐다. 실제로 국내 AI 인재는 2만1000명 정도로 중국 41만1000명, 인도 19만5000명, 미국 12만 명보다 턱없이 적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절대적 숫자도 적은데 그나마 있는 인재조차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글로벌 기업들은 AX를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판단하고 서둘러 자본과 인력을 집중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AI의 도입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도 확신을 하지 못하고 있다. 'AI 전환이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 10곳 중 6곳(60.6%)가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답했다. AI 도입에 엄청난 비용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데 투자 결과에 대한 의구심이 큰 만큼 기업들이 AI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G7 및 브라질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AI의 도입·활용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투자 수익률 추정의 어려움’이 지목된 바 있는데 한국 기업 역시 비슷한 상황인 셈이다.
대한상의는 국내 기업들의 AX를 통한 성장을 위해서는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일률적 프로그램 지원보다는 기업의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I 도입이 저조한 기업에게는 단순 자금 지원, 장비 보급보다는 ‘AI 도입 단계별 지원’을 강조했다. 도입 전 단계에서는 AI 활용 모델을 진단하고 설계해주는 컨설팅을 제공하고 도입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정제, 알고리즘 적용 등 기술 지원을, 도입 후에는 운용에 필요한 실습 교육 등을 진행하는 식이다.
아울러 AI의 성능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실증 모범사례를 빨리 만들어 줄 것을 건의했다. 대한상의는 "산업부가 제조AX 얼라이언스를 통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를 500개 이상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고 중기부도 ICT 융합 스마트공장 구축과 제조AI센터 구축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더욱 확대·가속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모델 공장, 솔루션 보급 등 제조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ET톡] 제조업 AI 전환, 이제 시작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7/25/news-p.v1.20240725.d8c58344d169433f95bf5df4f5153443_P3.jpg)
![[기고] 대한민국 딥테크 스타트업의 끝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5/news-p.v1.20251105.0c16973414794d5c91d5b855e4d59d71_P3.jpg)

![적자에도 투자 2배 늘려…글로벌 빅파마도 놀란 프런티어 기술[K바이오가 달라졌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NK5P01_2.jpg)

![[전문가 기고] AI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패권이 이더넷으로 향하는 이유는 '경제성'](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8/news-p.v1.20251118.ae8ee7e386774dbaacb38dc0937e3148_P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