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매일 8시간 맹훈…당구 최강 비결이죠"

2025-10-14

‘당구 여제’ 김가영(42) 선수가 5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PBA 스타디움에서 열린 ‘크라운해태 PBA-LPBA 챔피언십 한가위’ LPBA 결승전에서 임경진 선수를 접전 끝에 4대3으로 꺾고 우승했다. 우승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회에서 이상하게 경기력이 좋지 않아 졸전을 보여 죄송하다”고 말했지만 17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골프의 박세리·박인비, 배드민턴의 안세영과 같은 압도적 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김 선수의 최강 비결이 궁금해 킨텍스 인근에 있는 훈련장을 찾았다.

김 선수는 1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중간에 낙담하거나 쉬지 않고 한 우물만 팠다”며 “평균적으로 하루 8시간가량을 누가 보든, 안 보든 신경 쓰지 않고 꾸준히 훈련했다”고 털어놓았다. 한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한 ‘1만 시간의 법칙’이 있는데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당구에 매진한 그의 훈련량을 계산하면 약 8만 시간에 달한다. 김 선수는 “어려서부터 과감히 ㅅ도전하는 스타일이었다”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주저하지 않고 해외로 떠나 대만과 미국에서 10여 년을 활동했다”고 돌아봤다.

인터뷰 내내 그의 눈빛은 마치 호안(虎眼)처럼 강렬한 느낌을 주었다. 그만큼 시합에 나가서 보여주는 무서운 몰입감과 집중력을 나타내는 듯했다. 김 선수는 “경기할 때 상대 선수는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저한테만 집중한다”면서 “순간적으로 몰입하고 집중하는데 눈빛이 강해 때로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며 미소 지었다. 그러면서 “최근 대회에서 하나를 고치면 다른 문제가 튀어나와 집중을 잘 못했다”면서 “당구는 알면 알수록 어려운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스리쿠션을 할 때 치밀하게 계산하는지, 감각에 의존하는지를 묻는 말에 그는 “그때그때 경기 환경과 몸 컨디션이 달라 오랜 훈련을 바탕으로 감각적으로 시합에 임한다”면서 "평소 주차한 차를 쉽게 찾는 등 상대적으로 공간지각 능력이 괜찮은 편”이라고 말했다.

김 선수는 당구장을 운영하던 아버지의 권유로 초등학교 4학년 때 처음 당구채(큐)를 잡았고 중학교 2학년 때는 포켓볼을 접했다. 2001년 고등학교 졸업 후 19세의 나이에 부모를 설득해 당시 당구 선진국이던 대만으로 건너갔다. 현지에서 얼마나 독기 있게 임했는지 ‘작은 마녀(小魔女)’라는 별명을 얻었고 어느새 당구 최강 고수를 꺾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21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2년을 활동하다가 다시 대만으로 돌아와 7년을 더 활동한 뒤 귀국했다. 2004년과 2006년 세계선수권대회(아마추어)에서 우승했고 2009년과 2011년에는 미국 여자프로당구협회(WPBA) 1위에 등극했다.

‘언제가 가장 힘들었느냐’고 묻자 김 선수는 “정말로 열심히 준비해 2004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는데 방송 뉴스에 밑줄로 한 줄 나오고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다”며 “‘당구를 그만둬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어 참 막막했다. 당시 제 꿈은 이뤘는데 800만 원의 상금 외에 손에 쥐어진 게 없어 앞날이 깜깜했다”고 털어놓았다. 지금은 유튜브와 케이블TV로 당구 경기를 쉽게 접할 수 있지만 그때는 중계방송도 없고 언론에서도 기사로 다뤄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도 세계 챔피언을 한 번 더 해보고 그만두자는 생각으로 훈련에 매진해 US오픈과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각각 우승하자 하나카드·실크로드시앤티·씨프로·뉴트리·밤비 등 여러 기업이 후원에 나서줘 이제는 꽤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게 됐다. 그는 아시안게임에서도 두 차례 은메달을 따 당구 선수로는 처음으로 국가에서 연금을 받고 있다. 당구는 현재 올림픽 정식 종목은 아니지만 아시안게임에는 포함됐다가 빠진 뒤 20년 만인 2030년 카타르 도하 아시안게임에 다시 들어갈 예정이다.

“슬럼프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2020~2022년 코로나19 등 감염병 사태로 외국에서 대회가 없어져 힘들었죠. 중국에서 시합이 많은데 양국 사이가 안 좋아지면 한국 선수를 배제하기도 했고요.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편파적 징계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 낙담하지 않고 꾸준히 제 할 일을 했어요.”

그는 누가 지켜보든 안 보든, 결과가 좋든 안 좋든, 대회에서 상금이 많든 적든 상관하지 않고 훈련 ‘루틴’을 만들었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초중고교 시절 아버지의 코칭을 많이 받았던 게 많은 도움이 됐다. 수년 전 당구장을 그만둔 김 선수의 아버지는 과거 유도 선수로도 활동했고 경기지도자자격증도 갖고 있다.

현재 세계 당구계에서는 포켓볼이 대중화돼 있으나 한국에서는 스리쿠션이 90% 이상 차지할 정도로 활성화돼 있다. 김 선수는 2019년 강점을 보이던 포켓볼에서 스리쿠션으로 강제로 전향하는 아픔을 겪었다. 스포츠계의 고질병이기는 하지만 당구계에서도 대한당구연맹과 프로당구협회 간 파벌 싸움이 벌어져 톱클래스인 김 선수가 본보기로 제명되는 폭탄을 맞은 것이다. 그러나 그는 특유의 낙천성을 바탕으로 훌훌 털고 일어나 스리쿠션 여자 프로당구계를 평정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미성년자 출입 불가이던 당구장에 가서 용기 있게 가서 큐를 잡았어요. 당시 담배 연기가 자욱하던 시절이죠. 19세에는 언어도 모르는데 대만 진출이라는 도전장을 용감하게 내밀었고요. 37세에는 스리쿠션을 처음 시작했는데 열심히 하면 항상 길이 열리더라고요.”

그는 앞으로의 계획과 꿈에 대해 “제 한계에 도전하고 롱런하면서 상대적으로 남자 당구에 비해 약한 여자 당구의 위상을 올리고 싶다”며 “후배 선수들도 키우고 당구의 대중화를 위해서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머니가 종종 전화로 당구 기술 등에 관해 물어보시는데 당구는 남녀노소가 같이 동등한 입장에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라며 활짝 웃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