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 분양 물량이 올해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수도권 분양 예정 물량은 9년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4만 7837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 수)가 분양한다. 이는 올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으로 전월(1만 7000가구) 및 전년 동기(3만 2000가구)와 비교해도 1만 5000~3만 1000가구 많다. 특히 2021년 12월 5만 9447가구 분양 이후 최근 4년여 사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이다.
이는 정부 규제 등으로 청약 물량이 당장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과는 반대된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10·15대책 발표로 수도권 규제 지역이 확대돼 1순위 청약 조건이 까다로워지고 재당첨 제한과 중도금 대출 조건도 과거 대비 규제가 크게 강화돼 청약이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건설사는 연말까지 목표로 한 물량을 계획대로 진행하려는 경향이 더 강한 상황"이라며 "분양 시기를 늦춘다고 해도 현재의 규제 환경이 달라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수도권 분양 예정물량은 총 3만 8833가구다. 이는 2016년 10월(4만 9096가구 분양) 이후 약 9년 만에 월간 기준 가장 많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2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서울(3321가구) △경기(2만 7900가구) △인천(7612가구) 물량이 예상된다.
주요 분양예정 단지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트리니원(2091가구)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드서초(1161가구) 등이다.
또 △경기 광명시 광명동 힐스테이트광명11(가칭·4291가구) △경기 안양시만안구 안양동 안양자이헤리티온(1716가구) △경기 의왕시 고천동 의왕시청역SK뷰아이파크(1912가구) △경기 파주시 서패동 운정아이파크시티(3250가구) △인천 남동구 간석동 인천시청역포레나더샵(2568가구) △인천 미추홀구 학익동 시티오씨엘8단지(1349가구) 등이 있다.
지방 분양물량은 9004가구로 전월(9874가구)과 비슷한 수준이며, 작년 동기(1만 3142가구) 대비로는 4000여 가구 줄어든 수준이다. 지방 주요 단지는 △세종시 합강동 엘리프세종(424가구) △울산 울주군 범서읍 다운2지구유승한내들에듀포레(507가구) △충남 서산시 예천동 트리븐서산(829가구) △충북 청주시상당구 지북동 청주지북B1(공공분양·757가구) 등이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일반분양 기준 청약경쟁률은 △서울(134대1) △수도권(10.7대1) △경기·인천(4.12대1) △전국(7.40대1) △5대 지방 광역시(3.42대 1) △기타 지방(5.86대1) 등이다.
윤 랩장은 "건설사 입장에서는 규제 지역에 해당되는 서울과 수도권 주요지역에서의 청약성적과 미분양 수치들이 전반적으로 준수하게 확인되는 만큼 규제 지역 여하와 상관없이 올해 연말까지 수도권 위주의 차별적 공급에 경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공시가율 또 동결…집값 급등에도 세금은 ‘제자리’인 이유 [AI 프리즘*부동산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N18WWT_1.jpg)

![[단독]아파트 공시가율 내년도 안 올린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GS8XG_2.jpg)
!["아파트 대신할 똘똘한 한 채"…대출 조이자 꼬마빌딩 꿈틀[집슐랭]](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7UEPZW_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