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가 한일 역사 관련 발언으로 불거진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26일 알베르토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최근 공개된 ‘삼오사’ 영상에서 제 발언으로 인해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렸다”며 “저의 부족함으로 실망을 드린 점을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의 역사 문제는 수많은 아픔이 담긴 무거운 주제임에도 그 무게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며 “이번 일을 통해 깊이 돌아보게 되었다. 앞으로 더 신중하게 행동하며, 제 아이들에게도 부끄럽지 않은 부모가 되도록 역사와 맥락, 그 의미를 깊이 공부하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25일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에 공개된 영상에는 “[354 회담] 국제 결혼이요...? 단점 많죠 장모님 사랑합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공개됐다. 해당 영상에서 알베르토는 독일 출신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 호주 출신 방송인 샘 해밍턴, 배우 송진우와 함께 국제 결혼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이날 일본인 아내와 결혼한 송진우는 자녀 교육 문제를 언급하며 “아이에게 ‘옛날에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고 알려줬다”고 말했다. 이에 남동생이 일본인 여성과 결혼한 알베르토 역시 “아들 레오가 ‘일본 사람들이 나빴다’고 얘기했을 때 ‘일본 사람들이 나쁜거 아니고 이거 역사다. (한일) 양쪽의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고 가르친다”고 동의했다.

영상 공개 이후 일본의 일방적 침략인 일제강점기를 ‘양국의 싸움’처럼 표현한 해당 발언은 거센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명확한 가해·피해의 역사적 사실을 ‘분쟁’ 또는 ‘양비론’으로 축소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제작진은 “제작진의 잘못된 편집으로 출연자의 발언이 다른 의미로 전달됐다”고 사과하며 영상을 비공개 전환했다. 송진우 역시 자신의 개인 SNS를 통해 “어린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 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며 “표현이 더욱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다. 어떠한 변명도 없이 제가 잘못한 부분”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이하 알베르토 SNS 전문
안녕하세요, 알베르토 몬디입니다.
먼저 최근 공개된 삼오사 영상에서 제 발언으로 인해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저의 부족함으로 인해 불편함과 실망을 드렸다는 점을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 문제는 수많은 분들의 아픔과 기억이 깃들어 있는 매우 무거운 주제입니다. 그럼에도 저는 그 무게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경솔한 발언을 했고 이는 전적으로 저의 책임입니다.
이번 일을 통해 깊이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더 신중하게 행동하며, 제 아이들에게도 부끄럽지 않은 부모가 되도록 역사와 맥락, 그 의미를 깊이 공부하고 노력하겠습니다.
저의 부족한 말로 상처받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알베르토 몬디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