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전 과학자들은 인공지능(AI) 및 자동화 기술로 블루칼라의 육체노동을 대체하기는 쉽고 높은 지적 능력을 요구하는 화이트칼라 업무는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캐나다 과학자 한스 모라벡 박사는 1990년 이 같은 통념을 뒤집는 역설적 가설을 내놓았다. 성인 수준 지능으로 문제를 푸는 컴퓨터를 만드는 것은 쉽지만 한 살 유아 수준의 운동 능력을 지닌 컴퓨터 기계 개발은 불가능하거나 어렵다고 주장한 것이다. 오감으로 사물을 지각하고 몸을 움직이는 능력은 10억 년의 생물 진화 과정에서 인간이 고도로 발달시킨 기술인데 비해 추론 사고는 발현된 지 10만 년도 되지 않아 인간에게 덜 숙련된 능력이어서 AI로 모방하기는 더 쉽다는 논리였다.
‘모라벡의 역설’은 2020년대 들어 현실화했다. 스스로 학습·추론하고 판단·결정하는 GPT 등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의 AI가 등장해 고숙련 지식 노동자들을 대체하고 있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법률, 회계·경영, 의료 영상 진단, 수학 분야 직무도 컴퓨터로 자동화되기 시작했다. AI가 스스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게 돼 자신을 만든 프로그래머의 일자리까지 넘보기에 이르렀다. 그에 비해 육체 노동직은 아직 인간 근로자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모라벡의 역설마저 흔들릴 지경이다. 메타의 AI 개발자 얀 르쿤 뉴욕대 교수는 27일 “5년 내에 LLM은 구식이 될 것”이라며 차세대 AI 등장을 예고했다. 인간처럼 시각·청각 정보까지 복합적으로 지각하고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 작업을 할 수 있는 ‘월드 모델’ 기반의 AI 기계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은 2030년까지 직원 중 최대 60만 명의 업무를 AI 로봇 등으로 대체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같은 고용 대란을 피하려면 정부와 업계, 학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 차세대 AI로봇 시대에 필요한 직군들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 맞춤형 인재교육을 통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로의 전환도 시급하다.
![SK쉴더스 '실드'가 안된다 … 120개 고객사 정보도 유출 [디지털포스트 모닝픽]](https://www.ilovepc.co.kr/news/photo/202510/56566_155039_258.jpeg)

![[ET대학포럼] 〈244〉서울대 10개 만들기: 독창성과 다양성을 목표해야 한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9/news-p.v1.20251029.045118955c7a4d0d9f884219322f377a_P3.jpg)



![[건축신문고] BIM, 가능성과 좌절 사이](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10/29/.cache/512/2025102958032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