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T 해킹 사태 여파로 롯데 등 유통업계가 온라인몰을 통한 소액 결제까지 제한하기로 했다. SKT 통신사 인증 서비스에 이어 결제 서비스까지 막으면서 보안 강화에 나선 것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 e커머스 업체인 롯데온은 SKT 통신사 인증 서비스에 이어 소액 결제 서비스까지 중단했다. 타 통신사인 KT나 LG U+를 통한 결제 서비스는 정상 운영 중이다.
이에 대해 롯데온 관계자는 “현재까지 관련 피해 사례는 접수된 바 없지만 고객 정보보호를 위해 휴대폰 결제시 SKT 통신사 인증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면서 “고객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타 간편결제는 가능하도록 해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SKT 유심 해킹 사태로 복제폰 등을 통해 소액 결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자 롯데온 측에서 선제적인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롯데온은 SKT 해킹 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을 우려해 이달 2일부터 회원가입, 휴대폰 로그인, 환금성 상품을 구매할 때 SKT 본인 인증 서비스를 중단했다. 롯데마트에서 최근 출시해 운영 중인 앱 ‘제타’ 역시 같은 조치를 취했다.
SKT 손절 움직임은 유통업계 전반으로 퍼지는 분위기다. 기존까지 SKT 본인 인증 서비스를 유지해왔던 업체들마저 점차 손을 떼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롯데홈쇼핑은 9일부터 SKT 본인 인증 서비스를 막기로 했다. SKT 소액 결제 서비스에 대해서도 PASS 앱 인증 절차를 추가해 보안을 강화한다. 이에 대해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SKT와 SKT 알뜰폰 모두 본인 인증 서비스가 중단될 예정”이라며 “현재 공지사항을 통해 소액결제 시 PASS 앱을 인증하라는 팝업 안내문을 띄우고 있다”고 알렸다.
유통업계의 SKT 손절은 지난달 29일 신세계그룹이 본인 인증 가능 서비스에서 SKT 통신사를 제한하면서 시작됐다. 그룹 차원에서 신세계포인트 통합ID 사이트 등에서 SKT 및 SKT 알뜰폰을 통한 본인 인증 서비스를 막은 것이다. 스타벅스코리아 역시 지난달 고객들을 대상으로 SKT 인증 외에 다른 인증 수단을 권고하고, 일부 서비스에 한해선 통신사 인증을 제한할 수 있다고 공지했다.
쿠팡, 컬리, 11번가 등 e커머스에서는 SKT 본인인증과 소액결제 서비스가 모두 정상 작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