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한 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2월 16일, 97세로 별세한 길원옥 할머니다. 여성가족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240명. 길 할머니의 별세로 생존자는 이제 일곱 명이다.
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위안부 피해자 찾기에 나선 것은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적으로 증언한 이후 여가부가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 회복과 진상 규명을 위해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다. 그리고 그해 8월 14일, 위안부 피해자 등록이 시작됐다.
길 할머니는 1998년 10월에서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했다. 이후 위안부 피해 진상을 국내외에 알리는 일에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나섰다. 유엔 인권이사회, 국제노동기구 총회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 진상을 알리고 세계 각국을 돌며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을 위한 활동을 벌였다. 인권운동에 바쳤던 할머니의 말년은 빛났다. 2012년에는 고통받고 있는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위해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배상금으로 고 김복동 할머니와 함께 ’나비기금’을 만들었다. 2017년에는 평화와 통일을 위해 일하는 국내 여성활동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길원옥여성평화상’도 제정했다.
233명 위안부 피해자가 세상을 떠난 지금, 일본 위안부 강제동원 역사는 바로잡아졌을까.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군의 강제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1993년 8월이다. 당시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은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가 존재했으며 일본군이 관여해 강제 동원했다고 밝혔다. 일본군의 요청으로 위안소가 설치되었고, 위안소 관리와 위안부 이송에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시인하면서 역사 연구와 교육으로 이러한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실제 ‘고노담화’는 한일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1998년)을 이끌어내는 바탕이 됐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의미와 효력은 지속되지 못했다. 일본 정부는 국제적 관계를 의식해 겉으로는 담화 계승을 내세워왔지만, 아베 정권에 이르러 결국 ‘고노담화 검증’을 정부 차원의 과제로 삼으면서까지 공식 입장을 바꿨다. 고노담화의 정신이 폄훼된 지 이미 오래, 이제 담화 계승의 진정성을 기대하기는 더더욱 어렵게 됐다.
여가부에 공식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 일곱 명의 평균 나이를 보니 95세가 넘는다. 일제 강제동원의 역사가 이렇게 저물어가고 있다. 속절없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김은정 선임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 ##나비기금 ##고노담화 ##길원옥여성평화상
김은정 kimej@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