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길을 잃다] (끝)미래형 대중교통…철마는 달리고 싶다

2024-07-04

개도국 인프라 틈새시장 공략 가능

경제논리 앞에 해외 수출 무산 위기

단 0.6% 비용 절감 위해 포기 형국

“국내 상용화로 안정 운영 보여줘야”

전략 수출 사업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열차 전환은 대중교통지향형 해외 도시개발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교통시설은 도시 인프라의 시작 지점이다.

2007년 6월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 유치 경쟁 당시 인천은 대구, 대전과 경쟁했다. 국토교통부는 자기부상철도 기술의 높은 수출 가능성 덕분에 인천을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인천공항이 대외 기술 홍보에 다른 지역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사업 초반 존재했던 수출 의지는 경제성 논리 앞에 무너질 위기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자기부상철도를 궤도로 전환해 연간 30억원의 운영비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공사의 2023년 순이익은 4913억원이다. 절감 목표 비용은 당기 순이익 대비 0.6%에 불과하다. 0.6%의 비용 절감을 이유로 자기부상철도 기술수출 기회를 포기하는 셈이다.

국토부는 지난 4월 '해외도시개발전략지원팀'을 신설하고 해외 도시개발 사업수주 활성화 전략을 세웠다. 국토부는 “세계적인 인구 증가와 신흥국 발전으로 해외 도시개발 사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며 부서 신설 이유를 설명했다.

개발도상국들의 인구 증가 흐름은 먼저 교통 중심의 도시 인프라 수요를 부른다.

고준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는 “개발도상국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이 교통 인프라”라며 “공적개발원조(ODA)에서도 교통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2024년 국내 ODA 예산에서 교통은 14.3%로 인도적 지원(20.6%)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해외 도시개발 사업은 자기부상철도 기술 수출을 매개로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궤도열차 전환이 부르는 대중교통 상용화 포기는 수출 가능성을 낮춘다.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 국토부는 머리를 맞대고 자기부상철도 기술 수출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 그동안 지자체와 각 기관은 따로 움직였다. 국토부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을 팽개쳤다. 공사와 시는 경제성만을 따지느라 자기부상철도 수출은 커녕 궤도열차 전환을 결정했다. 자기부상철도는 미래형 대중교통수단으로 충분한 가치를 지녔다.

공공기관이 갈피를 못 잡는 사이 국내 민간사업자는 지난 5월 말레이시아 케다 주와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건설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예상 사업 규모는 약 5억 달러다.

고 교수는 “자기부상철도의 기술 수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해외 도시개발 사업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국내 상용화 폭을 넓혀 안정적인 운영 실태를 보여줘야 한다”고 전했다.

/특별취재반 박예진·오윤상·전상우·정슬기·추정현·홍준기 기자

저작권자 © 인천일보-수도권 지역신문 열독률 1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