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코젠, 창업주 해임 위기… "SI 유치" 약속에 소액주주 반발

2025-02-11

바이오 의약 소재 기업인 아미코젠(092040)의 창업주가 경영권 상실 위기에 놓였다. 아미코젠은 이달 임시주주총회에서 창업주 신용철 아미코젠 사내이사 해임을 논의한다. 신 이사는 전략적투자자(SI)로 이차전지 소재 기업인 광무(029480)를 유치하고 물러나겠다고 약속했으나 주주들은 “기업사냥꾼을 끌어들이지 말라”며 반발하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미코젠은 이달 26일 인천 송도에서 임시주총을 연다. 주요 안건은 △신용철 사내이사, 박성규 사외이사 해임안 △소지성, 김준호, 권혁준 사내이사 선임안 △한창영, 김순용, 이우진 사외이사 선임안 △정관변경 등이다.

핵심은 창업주인 신 이사 측과 아미코젠의 현 경영진 간 경영권 대결이다. 신 이사는 SI로 광무를 끌어들이고 광무 측 인사들로 신규 이사진을 추천했다. 신 이사가 제안한 이사 후보 중 권혁준 후보는 광무 사내이사, 이우진 후보는 광무 감사다. 소지성 사내이사 후보는 주주연대가, 김준호 사내이사 후보와 한창영·김순용 사외이사 후보는 현 경영진이 각각 추천한 후보다.

신 이사는 전날 네이버 종목토론방에 글을 올려 “지난해 주주총회 이후로 회사에 도움이 되는 SI를 모신 후 퇴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아미코젠의 더 큰 발전을 위해 SI 계약 마무리와 동시에 즉각 경영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어 “주주로부터 고소당하고 비판받아 온 현재의 이사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진이 구성돼 아미코젠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주들은 광무가 ‘기업사냥꾼 세력’이라 의심하고 있다. 기존에 네트워크통합(NI)과 시스템통합(SI) 사업을 주로 했던 광무가 이차전지 소재 회사로 탈바꿈한 것은 2022년 최대주주가 아틀라스팔천으로 바뀐 이후다. 광무의 최대주주가 아틀라스팔천으로 바뀔 때 함께 투자에 참여한 플루토스(019570)(구 리더스기술투자)는 현재 신 의장의 아미코젠 투자 유치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다.

주주들은 광무·플루토스가 아미코젠을 경영하고자 하는 방향성에도 의구심을 보낸다. 아미코젠의 기존 핵심 사업은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 필수 소재인 배지·레진이었다. 아미코젠은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던 배지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면서 산업계의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하지만 플루토스 측은 아미코젠의 경영권을 쥐게 되면 구조조정을 거쳐 배지·레진 사업 대신 케미컬의약품에 투자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 이사는 이미 계열사 ‘비피도’ 투자에 실패하고 개인 사업인 부산 금곡벤처밸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아미코젠을 끌어들이며 주주들의 신뢰를 잃은 상태다. 신 이사는 지난달 아미코젠 이사회 의장에서 해임된 데 이어 이달 초 최고전략책임자(CSO) 보직에서도 해임됐다. 현재 아미코젠 경영진인 박철(표쩌) 대표와 윤영철 사내이사 등이 창업주인 신 이사에게 반기를 든 것으로 풀이된다.

신 이사를 해임해 ‘경영권 없는 최대주주’로 만들기 위한 관건은 소액주주들의 결집이다. 상법상 임시주총에서 이사를 해임하려면 출석한 주주 의결권 3분의 2 이상과 발행주식총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신 이사는 아미코젠의 지분 12.6%를 보유한 반면 현 경영진인 표쩌 대표와 윤 이사의 지분율은 각각 0.3%, 0.1%에 불과하다. 신 이사 외에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대주주는 없다. 11일 기준 행동주의 소액주주 운동 플랫폼 업체 ‘액트’에 모인 소액주주 지분은 31.53% 수준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