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출 지연 37건, 송출 누락 5건 발생
다언어 체계 미비로 외국인 사각지대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글로벌광주방송(GGN)의 재난 방송이 속보로 대응하지 못하고 송출 지연이 발생해 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채은지 광주시의원은 10일 제338회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GGN은 재난정보를 통보받은 즉시 송출해야 하지만 최대 81분이 지연된 사례가 확인됐다"고 꾸짖었다.

실제로 지난 9월 기준으로 GGN에서 의무적으로 송출해야 하는 재난방송 건수는 총 277건이다. 이 중 재난정보 수신부터 송출까지 30분 이상 지연된 경우는 29건, 60분 이상은 8건으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지난 7월 17일 광주에 600mm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가 쏟아졌던 날에도 최대 78분이 지연된 사례도 있었다. 2024년에는 재난방송 5건을 송출하지 않아 10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기도 했다.
채 의원은 "이태원 참사 당시 재난정보가 늦게 전달돼 피해가 가중됐다는 논란이 있었다"며 "지역 주민과 외국인이 즉시 대비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 체계를 전면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난방송이 영어와 중국어에만 국한돼 다언어 체계를 갖추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서임석 의원은 "광주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11만명에 이르며 이 중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 등 비영어권 체류자가 80%를 차지하지만 글로벌광주방송의 재난방송은 영어·중국어에 국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윤도한 글로벌광주방송 사장은 "AI 시스템을 통해 다언어 자동 송출 체계를 구축하려면 약 8000만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며 "현재는 예산 부족으로 AI 번역을 활용하더라도 언어 다양화에 한계가 있다"고 답변했다.
서 의원은 "재난안전방송은 방송 효율이나 제작비 문제가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모든 시민과 외국인이 동시에 정보를 받아야 하는 인권의 문제"라고 되받아쳤다. 그러면서 "다언어 재난방송은 광주의 안전정책의 기본 인프라로 AI기반 시스템 구축을 내년 본예산에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less4ya@newspim.com


![[단독]"내부통제 부실"…한화생명 인수 벨로시티 美서 벌금](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M6FOL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