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교통사고 3대 후유증과 대처법

2025-10-20

(조세금융신문=정기훈 서이한방병원 대표원장) 교통사고에서 신경써야 할 문제 중 하나가 후유증이다. 사고 발생 후 상당 시간이 지났음에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불편한 증상이 계속되는 게 후유증이다. 교통사고 후유증은 사고 부위의 통증, 골절, 우울감, 어지러움,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등 다양하다. 지속적인 통증은 생활에 큰 부담으로 작용된다. 스트레스가 심할 수밖에 없다. 신체의 불편함이 오래되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정서적 불안의 악순환도 발생한다.

교통사고 후 1년 무렵까지 10명 중 2명 가깝게 우울감을 보이는데, 신체 손상이 클수록 심리적 불안감 비율이 높아진다. 또 통계로 볼 때 10명 중 2~3명이 교통사고 후 6개월 내에 신체적 후유증을 느낀다. 후유증은 건강한 청장년 보다는 체력이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기존 질환자에서 더 발생된다. 그러나 젊은층도 후유증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후유증 발현 시기는 수일에서 수주 후가 많다. 또 일부는 수개월 후에 나타나기도 한다. 교통사고 직후 몸에 별다른 이상이 없어도 남녀노소 모두 몇 개월 동안은 환자 본인의 신체 상태를 예의 주시해야 하는 이유다.

후유증 빈발 신체 부위는 목과 허리다. 또 팔과 다리 저림과 두통도 흔하다. 교통사고 3대 후유증은 뇌진탕 증후군, 경추부(목)와 척추 질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들 수 있다.

뇌진탕 증후군은 어지럼증, 두통, 안구 불편, 시력저하, 이명, 메스꺼움, 집중력 저하 증상과 연관이 깊다.

경추 통증을 포함한 척추 질환은 사고 시 강한 충격이 목과 허리에 가해진 결과 나타난다. 몸의 상체는 안전벨트에 의해 고정돼 있다. 그러나 고정되지 않은 두상과 하체는 앞으로 튕겨 나가면서 전후 운동으로 목 꺾임과 허리의 뒤틀림이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척추뼈와 근육, 인대 등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목과 척추의 미세한 왜곡은 통증과 함께 추간판탈출증, 척추관 협착증으로 악화될 소지가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리적 불안에 따른 증상이다. 우울, 초조, 불안, 수면장애 등으로 일상 생활의 리듬을 깨뜨려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후유증은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자칫 만성화 위험이 있다. 이상 신호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기능장애와 만성 통증 위험도 있다. 후유증은 조기 발견이 최선이다. 사고 후 최대한 빨리 정밀진단을 받고, 통증이 미약해도 늦어도 3주 이내에 정밀 진단과 치료를 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 신체 후유증은 원인에 대한 약물 치료, 물리치료, 재활치료 등으로 몸의 컨디션을 끌어올릴 수 있다. 한방과 양방 치료 병행 병원에서 협진하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프로필] 정기훈 서이한방병원 대표원장

•現) 대한고금의학회장

•前) 대전한의사회부회장

•前) 대전대 한의예과 학과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