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는 지난 21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리브컴 어워즈(LivCom Awards 2025)’ 결선에서 기술 및 솔루션(Technology and Solutions)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1997년 시작된 리브컴 어워즈는 유엔 지역개발센터(UNCRD), 유네스코 인문과학국제센터 등 국제기구가 공동 주관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살기 좋은 도시상(International Awards for Livable Communities)’으로, ‘그린 오스카(Green Oscar)’로도 불린다. 전 세계 지방정부의 혁신성과 우수사례를 평가하는 국제대회로 올해는 300개 도시가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성남시는 ‘인간 중심 모빌리티(Human-Centered Mobility as a Service, MaaS)’ 프로젝트로 대한민국 도시 중 처음으로 기술 및 솔루션 부문 본선에 진출한 데 이어 은상을 거머쥐었다. 해당 부문에서는 금상 수상 도시가 없어 사실상 최고상에 해당한다.
이번 성과는 기술 혁신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평가됐다. 리브컴 위원회는 “성남시는 기술과 문화, 인간과 환경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진정한 인간 중심 스마트시티의 비전을 구현했다”고 평가했다.
‘Human-Centered MaaS’ 프로젝트는 △걷기 좋은 도시 인프라 조성 △문화유산과 자율주행 기술의 융합 △생태·문화 체험 자전거도로 구축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운영 △교통 거점의 문화공간화 등 이동·문화·환경을 누구나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자율주행 셔틀 운영, 누비길·맨발 황톳길 조성, 교통 거점 연계 문화공연 운영 등은 기술·사람·지역 유산이 조화를 이룬 혁신사례로 주목받았다.
성남시는 이달 5일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 모빌리티 부문 대상에 이어,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인한 국제대회인 리브컴 어워즈에서도 수상하며 52년 시 역사상 최대의 국제적 성과를 거뒀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혁신도시로서의 위상을 한층 공고히 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이번 수상은 성남시민 모두가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며 “기술은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믿음 아래, 누구나 공평하게 이동하고 문화와 자연을 누릴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성남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세계 도시들과의 협력과 교류를 강화하고,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도시 모델 확산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친환경 교통, 디지털 포용, 문화·기술 융합을 중심으로 ‘기술과 문화,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글로벌 리빙시티(Global Living City)’ 실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이양범 기자 ]






![[CMG중국통신] 중국, ‘14·5’ 기간 무형문화재 44건 유네스코 등재… 보호 성과 발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4/27b7e5b3-1793-40db-b9ee-2a0bfee0126b.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