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라잉넛도, 홍대 인디씬의 역사도 30년이다. 이번 공연, 전시는 우리 뿐만 아니라 인디 씬에 바치는 선물 같은 느낌이다.”
록 밴드 크라잉넛의 베이시스트 한경록이 데뷔 30주년 기획 공연·전시를 설명하며 한 말이다. 홍대 인디씬의 대표 밴드로 꼽히는 크라잉넛은 1995년 라이브 클럽 ‘드럭’에서 데뷔 후 ‘말 달리자’ ‘룩셈부르크’ 등 히트곡을 연달아 발표했으며 현재까지 멤버 교체 없이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이들은 데뷔 30주년을 맞아 오는 25일부터 내년 1월31일까지 홍대 상상마당에서 특별전시 ‘말 달리자’와 공연 ‘너트 30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22일 상상마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들은 30년 전 데뷔 당시 에피소드들을 들려줬다. 드러머 이상혁은 “(무명일 때라) 관중 1~3명 정도만 놓고 공연을 한 적도 많았다”며 “관객석에 있는 분들이 우르르 다같이 화장실에 가면 잠시 음악을 멈췄다가 오실 때 맞춰 다시 시작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경록은 “라이브클럽 내 공연이 합법화가 안 됐던 때라 경찰이 번갈아가며 수시로 단속하러 나왔다”고도 했다. 라이브클럽을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해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1990년대 문화계가 ‘라이브클럽 합법화 운동’을 통해 얻어낸 결과다. 이전까지 대중예술인은 ‘유흥종사자’로 분류됐고, 유흥주점이 아닌 일반음식점에서는 2인 이상의 공연을 할 수 없었다.

전시 제목이기도 한 이들의 최대 히트곡 ‘말 달리자’는 멤버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노래다. 음원이나 앨범이 아닌, 오로지 라이브 공연에서만 발표한 이 노래가 입소문을 타면서 팬들이 생겼고, 크라잉넛은 기세를 몰아 명동 한복판에서 ‘스트리트 펑크쇼’를 열어 주목을 끌었다. 한경록은 이 과정에 대해 “우리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나오게 된 계기”라고 말했다. 이어 “‘말 달리자’를 데뷔 이래 지금까지 몇 번 불렀는지 어림잡아 계산해보니, 일 년에 리허설 포함 200번이라고 치면 30년에 6000번”이라며 “우리를 있게 해 준 노래”라고 강조했다.
30년의 활동 기간에 대해 이들은 “매순간이 위기였다”고 입을 모았다. 키보디스트 김인수는 “어차피 인디 씬은 태동부터가 불법이었기 때문에 위기를 품고 시작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며 “수많은 위기들을 극복했지만, 최대 위기는 관객을 만날 수 없었던 팬데믹이었다”고 말했다. 한경록은 “우리는 정원에서 손질, 관리 받은 게 아니라 길거리에서 피어나고 싶은 대로 피어나는 야생화”며 “우리가 이렇게 한 시대를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초창기엔 주먹다짐 싸움도 하고 토라져서 말로만 탈퇴도 여러 번 했던”(이상면) 이들이 30년 간 멤버 교체 없이 롱런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한경록은 “우리는 친구들이 모여서 만든 밴드다. 여행도 해 보고 술도 마셔봤지만 친구들끼리 밴드 만들어서 공연하는 게 세상에서 제일 재밌다”며 “메시나 호나우두가 있는 팀은 아니지만, 각자 팀원으로서 장점을 살려 앞으로의 30년도 잘 달려가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홍대 상상마당 3~5층에서 열리는 이들의 데뷔 30주년 전시에선 미공개 소장품, 신작 아트워크, 오디오·영상 아카이브 등이 공개된다. 같은 건물 지하 2층 홍대 라이브홀에서는 크라잉넛과 김창완(28일), 잔나비(29일), 장기하(11월10일), 김수철(11월11일) 등의 공연도 펼쳐진다. 전시는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관람할 수 있지만 연계 공연은 유료 예매해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크라잉넛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상상마당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