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교사노조(위원장 정재석)는 21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 통일부 대회의실에서 ‘통일교육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비롯해 통일부 관계자, 교사노조연맹 가맹노조 대표들이 참석해 통일 인식 변화와 향후 통일교육의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만남은 현 정부 들어 통일부가 교원단체와 공식적으로 가진 첫 대화의 자리로, 정부와 교육 현장이 함께 통일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참석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통일 관련 주제를 다루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현실을 공유했다. 일부 교사들이 통일교육을 정치적 사안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통일교육이 정치적 편향을 넘어서는 중립적이고 균형 잡힌 시민교육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통일교육이 교사의 행정업무로 인식되지 않도록 제도적 여건을 개선하고,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이어졌다.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을 연계·확대할 수 있도록 통일부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아울러 통일을 거시적 이념이 아닌 평화·공존·민생 중심의 현실적 문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통일교육이 단순히 남북관계 이해에 그치지 않고, 통일 이후 사회적·정서적 변화를 포괄하는 ‘통일정서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지난 20년간 교육과정은 여러 차례 개정됐지만 통일교육 내용과 자료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시대 변화에 맞는 교육 콘텐츠와 장애학생을 포함한 다양성 존중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국립 통일교육원’을 ‘국립 평화통일민주교육원’으로 개편해 민주시민교육까지 포괄하는 체계로 확장할 계획을 밝혔다. 앞으로는 평화·민주·인권의 가치를 함께 다루는 통일교육을 추진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교사 연수·워크숍·체험학습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정재석 전북교사노조 위원장은 “통일부가 교원단체와 처음으로 공식 간담회를 가진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며 “이번 만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정례화되어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 실제 정책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오늘 제시된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교사들의 목소리에 꾸준히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미진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