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겨울 우리나라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더 높을 가능성이 커 예년보다 덜 춥고 비교적 포근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상청이 24일 발표한 3개월 전망에 따르면 12월 기온은 평년(0.5∼1.7도) 수준일 확률이 50%,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30%, 낮을 확률이 20%로 제시됐다. 내년 1월 역시 평년(-1.5∼-0.3도)과 비슷할 확률이 50%, 더 높을 가능성이 30%로 전망됐다. 내년 2월은 평년(0.6∼1.8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다.
올겨울이 비교적 따뜻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우리나라 주변 고기압성 순환 강화 가능성이 지목됐다. 스칸디나비아 인근 해수면 온도가 가을 동안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북서태평양에서 대기로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증가해,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가 따뜻한 방향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티베트 지역의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은 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눈 덮임이 줄면 지면에서 대기로 전달되는 열이 늘어나 티베트 상공의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되고, 동아시아 지역까지 확장되면서 겨울철 기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전반적인 지구 온난화 추세도 더해지고 있다. 지난 53년 동안 우리나라의 12월 평균기온은 0.2도, 1월은 1.6도, 2월은 2.1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영국 등 11개국 기상청과 연구기관의 기후예측 모델 역시 올해 12월부터 내년 2월 사이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을 53∼59%로 예측했다.
다만 변수도 존재한다. 적도 성층권 상부 동풍이 강화될 경우 열대 지역 대류 활동이 증가해 지구적 기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제트기류가 약화되면 북극의 찬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돼 기온이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약한 라니냐, 동부 유라시아의 많은 눈 덮임, 북극해 해빙 감소 등으로 인해 올겨울과 내년 1월에는 기온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강수량은 12월에는 평년보다 적을 가능성이 40%, 비슷할 가능성이 40%, 많을 가능성은 20%로 전망됐다. 내년 1월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2월은 많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다. 특히 12월 강수 부족은 북극해 적은 해빙으로 인해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대로 2월 강수 증가 가능성은 적도 성층권 동풍 영향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전파되는 대기 파동의 영향으로 설명됐다.
기상청은 강수 전망을 종합한 결과 “올겨울 가뭄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건강상식] 일조량 줄고 건조해지는 겨울, 건선 악화 위험 높아…생활 관리 필요](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8/art_1763942531093_bb03a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