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김용범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이 금융감독원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다. 김 부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할 경우 메리츠금융의 부동산 PF 관련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내부통제 부실 문제 관련해 검찰이 본사를 압수수색까지 한 만큼 그룹 전반의 리스크 관리와 경영책임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증권·화재·캐피탈 등 계열사 공동 PF 운용
국회 정무위원회가 올해 국정감사 증인·참고인 명단을 확정했다. 이 가운데 김용범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도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 부회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대보증 관행과 관련해 21일 예정된 금감원 국감 증인으로 출석 요청을 받은 걸로 알려졌다. 김 부회장이 실제로 국감에 출석할 경우, 메리츠금융 계열사의 PF 공동투자 구조와 리스크 관리체계를 둘러싼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8월 금융위원회는 부동산PF 사업에서 하도급업체가 원도급업체의 채무를 대신 보증하는 행위는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금융당국은 하도급업체의 연대보증 사례를 조사하고, 일부 사업장에 대한 검사에도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 이후 PF 시장 전반의 연대보증 관행에 경고등이 켜졌고, 그룹 차원에서 연대보증 구조를 운용해 온 메리츠금융이 주요 점검 대상으로 부상했다.
메리츠금융은 증권·화재·운용·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를 중심으로 공동투자 및 연대보증 형태의 PF 금융 구조를 적극적으로 운용해온 대표 사례로 꼽힌다. 지난해 금감원이 금융투자업계에 대한 부동산PF 점검에 착수했을 때도 메리츠화재·메리츠증권·메리츠캐피탈 등 계열사가 동시에 검사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메리츠증권이 발굴한 투자 프로젝트에 화재·캐피탈 등이 공동 투자하는 형태로 동반 참여하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구조는 그룹 차원의 자산가치를 높이고 수익원을 다변화하는 전략으로도 평가되지만, 계열사 간 리스크 전이 가능성을 키운다는 우려 또한 낳고 있다. 특히 메리츠금융의 PF 익스포저(위험 노출 규모)는 업계 상위권으로 꼽힌다. 자회사인 메리츠증권의 경우 지난 6월 말 기준 부동산금융 익스포저가 자기자본의 127%에 달해 부동산금융 의존도가 높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국신용평가(KIS)는 9월 발표한 ‘메리츠금융지주 신용등급 리포트’에서 “메리츠금융그룹은 국내 부동산PF 및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가 상당하며, 계열사 공동투자로 인한 영업실적 동조화와 함께 높은 실적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이번 국감에서는 PF 구조 관련해 그룹 차원의 리스크 관리체계가 적절히 작동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것이란 전망이다.

#내부통제 부실 논란 재점화되나
PF 리스크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메리츠금융은 또 다른 내부통제 부실 논란에도 직면해 있다. 최근 메리츠금융 본사가 내부자 거래 의혹으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만큼, 이번 국감에서는 메리츠금융의 내부통제 부실과 경영책임 문제도 함께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검찰은 메리츠금융그룹 전·현직 임원들의 미공개정보 이용 주식 거래 혐의를 확인하기 위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앞서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는 7월 메리츠화재 전 사장 A 씨와 상무급 임원을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이들은 2022년 11월 메리츠금융지주의 메리츠화재·메리츠증권 합병 발표 정보를 사전에 파악해 가족 명의 계좌 등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발표 이후 주가가 급등하자 매도해 수억 원대 차익을 얻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메리츠금융 내부통제 체계의 구조적 취약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메리츠금융 관계자는 “대상자들에 대한 인사 조처를 이미 완료했으며,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를 다한 상황”이라며 “이와 관련해 별도의 공식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메리츠금융은 그간 내부통제 부실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계열사인 메리츠증권에서도 비슷한 논란이 잇따랐다.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12월 이그룹(옛 이화그룹)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과 관련해 검찰의 본사 압수수색을 받았다. 검찰은 2021년 메리츠증권 임직원들이 이그룹의 1700억 원 규모 BW 발행 과정에서 내부 정보를 이용하거나 부당거래에 개입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메리츠의 내부통제 문제는 2023년 국정감사에서도 거론된 바 있다. 증인으로 출석한 최희문 당시 메리츠증권 대표에게 최승재 전 국민의힘 의원은 “국내 주요 10개 증권사 가운데 내부통제 위반 사례의 3분의 1이 메리츠증권에서 발생했다”며 “징계 수준이 견책·감봉에 그쳐 다른 증권사보다 지나치게 가볍다”고 지적했다.
메리츠금융그룹 전반의 내부통제 리스크가 연이어 불거지는 상황에서, 김 부회장의 국감 증인 출석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 부회장은 부동산 PF 연대보증 논란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된 상태지만, 아직 출석을 확정 짓지는 않았다. 메리츠금융 관계자는 김 부회장의 국감 증인 출석 여부와 관련해 “현재로서는 확인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반기 1조 순익' 김성환 한국투자 대표, 장수 CEO 되기 위한 조건은
· [단독] '자산 매각 속도' 포스코이앤씨, 충주 기술연구소 149억에 처분
· "결과보다 과정, 제품보다 태도" 오브젝트바이프라이즈 2025 수상작 발표
· "3분기 실적, AI 슈퍼사이클이 갈랐다" 삼성 '질주' vs LG '방어'
· [단독] '일본의 이케아' 니토리 인천연수점도 폐점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