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장에서 이른바 '관봉권'이 등장했다. 특검 수사 과정에서 '띠지 분실' 논란을 일으켰던 지폐 묶음이다.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은 이날 1000원권 1000장이 묶인 관봉권을 직접 제시하며 "가짜 뉴스가 난무해 시중은행에서 직접 인출해왔다"며 "드물긴 하지만 관봉권을 개인이나 기업에 지급하는 것은 규정상 문제없고 실제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천 의원은 "띠지는 지폐 수량과 제조책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통해 어느 은행이나 창구에서 인출됐는지 알 수 없다"며 "컵라면 바닥 제조번호로 구매처를 알 수 없는 것과 같은 구조"라고 강조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관봉권이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파악하지만, 어느 묶음이 어디로 갔는지는 알 수 없다"며 "화폐 익명성 원칙 때문에 바코드 추적은 검토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천 의원이 "국정원이나 대통령실이 특수활동비를 현금으로 요청한 적이 있느냐"고 묻자, 이 총재는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