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품 브랜드 발렌시아가가 최근 공개한 ‘디스트로이드(Destroyed) 모델 재킷’이 출시 24시간 만에 1차 물량이 완판된 것으로 전해졌다. 마치 재난 현장에 있던 옷처럼 심하게 훼손되고 헤진 형태의 이 후드 재킷의 가격은 950달러(약 84만원)다.
2일(현지시간) 인도 경제 매체 NDTV Profit 등에 따르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가 켄 쿠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해당 제품의 영상을 올리며 “발렌시아가 '디스트로이드 모델 재킷'의 첫 물량이 모두 팔렸다”고 밝혔다.

공유한 영상에는 모델이 붉은색의 찢긴 재킷을 지퍼로 여미고 후드 모자를 쓰는 장면이 담겨 있다. 이 제품은 소매 끝 실밥이 모두 풀려 있고, 옷 중앙은 완전히 뜯겨나간 듯한 커다란 구멍이 있으며 곳곳에 뚫린 구멍들이 난무한다. 전형적인 명품 패션 아이템이라기보다 재난이 지나간 잔해 속에서 건져낸 것 같은 모습이다.
발렌시아가는 과거에도 의도적으로 훼손된 디자인의 제품을 선보여 왔다. 오래 신어 때가 낀 듯한 스니커즈부터 립스틱 자국과 구멍이 가득한 후드까지, 기존 패션 문법을 비틀고 ‘스타일’과 ‘가치’의 기준을 시험해온 행보다.
이번에도 전세계 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착용조차 어려울 것 같은 극도로 훼손된 후드 재킷이 완판된 것에 대해 누리꾼들은 비웃음과 당혹감을 동시에 드러냈다. 한 누리꾼은 “저런 상태가 가치라면 나는 이미 억만장자”라며 조롱했고, 또 다른 이용자는 “950달러짜리 걸레라니 말도 안 된다. 아름다움과 가치 기준은 어디로 갔나”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저런 걸로 바닥 청소할 옷은 많다. 이렇게 비싼 줄 몰랐다. 나도 이제 부자”라는 농담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패션 매체 Soy Carmin은 이러한 발렌시아가의 하이패션 전략을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했다.
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손상된 낡은 옷을 고가로 판매함으로써 부와 완벽함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에 도전하는 '아이러니한 반항의 매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분석했다. 또 그는 "소비주의의 거대한 부조리와 패스트 패션의 악순환을 부각하며 '사회적 논평'으로서의 하이패션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솔직히 이렇게 분노한 사람들이 각종 SNS에 글을 올리며 수백만 달러 상당의 무료 홍보를 하게 하는 '분노 마케팅의 천재'"라고 덧붙였다.
결국 이번 발렌시아가 디스트로이드 모델 재킷을 둘러싼 논란은 오히려 브랜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한 사례로 해석된다. 명품 시장에서 ‘도발’과 ‘논란’은 곧 강력한 화제성과 판매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준 셈이다.







